역설이지만, 철거민과 노점상은 누군가 죽어야만 사회적으로 관심을 받게 된다. 그 관심이란 것도 대부분 ‘동정’에 가려져 좀 더 구조적인 문제는 비정한 사회 탓으로 돌려지거나, 신파적 결론을 끝으로 대중의 기억 속에서 사라진다. 우리는 이미 박준경 열사가 돌아가시기 한 달 전 11월 6일 기자회견을 진행했고, 경찰청장과의 면담을 요구한 바 있다.
당시 경찰이 용역 폭력에 엄중하게 대처했다면 아현동 철거민 박준경의 죽음은 없었을 것이다. 왜 결국 누군가 희생을 당하고서야 뒤늦게 수습하려 드는가? “다 필요 없다”는 유가족의 절규가 귓가에 쟁쟁하다.[워커스 5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