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77일간의 파업, ‘견뎌’라는 눈물겨운 말 한마디

[새책] 내 안의 보루 (고진 저, 컬처앤스토리, 2014)

“개죽음은 피해라!”

1994년 1월로 기억하고 있다. 한상균 전 지부장을 처음 대면한 날이, 쌍용자동차 평택공장 조립1팀 콘베어 라인에서 일을 막 시작하려고 할 때 내게 다가와 말을 건넨 사람이 바로 한상균 전 지부장이었다. 전날 먹었던 술이 아직 깨지 않았던지 술냄새를 풍기며 내게 말을 걸었던 그 모습을 난 아직도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그것이 바로 20년이 넘게 이어지고 있는 나와의 질긴 인연의 첫 시작이었다.

쌍용자동차 하면 ‘정리해고와 죽음’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게 되었다. 그 속에는 ‘77일’이라는 공장점거파업이 자리 잡고 있고, 고통과 아픔의 시간이 만 5년이 되도록 멈출 줄 모른 채 이어지고 있다.

처음에는 무심코 책을 읽어 내려갔다. 읽는 사람에 따라 책의 내용이 재미가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들었다. 한 사람의, 아니 두 사람이 살아온 삶의 이야기가 보통 사람의 일반적인 삶과 거리가 있었고, 쉽게 접하기 어려운 다른 길을 걸었기 때문이란 생각이 들어서다. 평범한 일반 사람의 일상적인 삶보다는 다른 삶과 길을 선택한 두 사람, 만남의 과정 또한 생존권이라는 절체절명의 위기 앞에, 일터를 지키기 위해 몸부림치는 그 자리에서 막걸리잔 기울이며 서로가 고등학교 동기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과정, 이 모든 게 ‘서로를 지켜줘야 한다.’라는 그 어떤 운명의 시작이 아니었나 싶다.

몇 번 봤던 것이 전부였던 두 사람이, 서로의 필요성을 공감했는지 한 사람은 요청하고, 한 사람은 요청을 거부하지 못한 채 승낙하는 장면이 바로 한상균과 김혁의 만남이라는 끈을 이어 줬던 것은 아닐까. 그래서 아쉬움이, 그 아픔과 열정을 이 책 한권에 다 담아낼 수 없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쌍용자동차 정리해고투쟁을 함께 해왔던 나로서는 생사를 넘나들던 그 순간들을 결코 잊을 수 없다. 경찰공권력의 살인진압 과정에서 안에 갇혀 온갖 고민과 고뇌, 분노와 울분, 고통과 아픔을 함께 겪었다. 지부장이란 이유만으로 모든 파업의 책임을 떠안고 가야했던 그 마음, 3년이라는 감옥 생활을 하면서도 도리어 자신이 미안해하던 그 표정과 모습들이 다시 생각나게 한다.

“답을 찾는 심정으로 올라가네!”

3년의 감옥생활도 부족한지 다시 출소 2개월만에 고공철탐에 올라 6개월이라는 시간을 다시 목숨을 걸어야 했던 한상균, ‘올라가면 안 된다, 올라가지 마라.’ 눈물을 흘리며 극구 말렸던 기억도 생생하다. 그 뒤 송전탑 아래서 그 모습을 지켜봐야만 했던 미안함이란 말로 표현하기가 부끄럽다. 누가 떠밀어 올려 보내지 않았는데 다시 송전탑을 올라야 했던 그 심정은 어땠을까.

“화성교도소를 나오던 그날 밤까지 부끄럽지만 어디론가 도망갈 궁리를 했네. 비겁한 자로 살아가는 게 차라리 내가 진 업보보다 낫다고 보았네. 많은 이들의 얼굴이 내 가슴에 주홍글씨처럼 박혀있는데 그들을 보면서 살아갈 수 없었다. 그런데 나를 보러 온 수백 명을 보면서 도망갈 용기조차 없었다. 가슴이 뛰고 울컥하면서 눈물을 흘리면서 그들 속에서 내가 뭔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너무나 공감한다. 나도 그 마음을 먹었던 적이 있었으니, 그러나 24명의 동료, 가족들의 죽음을 차마 외면할 수 없었다. 함께 그 긴 시간의 고통을 이겨나가는 나의 동지들을 외면할 수 없었다. 우리를 돕겠다고 다가오는 사람들의 연대의 마음을 외면할 수 없었다.

전혀 모르고 있었던 충격적인 내용이 이 책을 통해서 또 전해진다. 아니 나보다, 앞으로 이 책을 읽을 독자들보다 더 걱정스럽고 충격을 받을 사람은 시골에 계시는 노모와 가족일 것이다. 뒷감당을 어떻게 하려고, 차라리 몰랐으면 더 좋았을 걸, 다른 예상은 했지만 그 정도일 줄은 나도 미처 몰랐다. 그 당시 혼자 모든 짐을 떠안고 결정해야 하는 마음을 누가 알겠는가.

“도장 공장에 나만의 아지트가 있었네. ... 파업이 두 달 지날 무렵부터 조금씩 최후의 무기들을 장만했었네. 그것들을 사용했다면 엄청난 일이 벌어졌겠지. 그 마지막 시간에 거기에 들어가서 생각에 잠겼네. 숨 막힐 정도로 신나 냄새가 진동했지. 나는 우리들의 시간을 짧게나마 되짚어 봤네. 이제 최후의 싸움으로 갈 것이냐? 시간은 많지 않았네. ... 혼란스러웠지, 이 영령들 앞에서 죄송스런 이야기지만 ‘개죽음은 피해라!’ 하는 소리가 귀에서 ‘앵앵’거렸네.”

혼자서 외로운 결정과 고민을 해야 했던 그 모습을 생각하니 미안함과 충격이 뇌리를 때린다. 그래 우리 “개죽음은 피하자!”

쌍용자동차 정리해고 투쟁이 벌써 5년이라는 시간과 함께 다섯 번째 겨울을 보내고 있다. 그 기나긴 투쟁을 이렇게라도 되짚어 보고 기록을 남기게 해준 한상균 동지와 김혁 동지에게 감사할 뿐이다. 이런 열정들이 나약해지는 우리를 더 단단하게 담금질 해준다.

성큼 다가온 이 봄날, 잎만 돋아나는 봄이 아니라 해고자들의 마음에도 그 가족들의 마음에도 일상의 행복 꽃 피길 간절히 기원해 본다. 많은 이들이 이 책을 읽고, 우리가 살아내 온 눈물겨운 어제를, 꿈꾸는 내일을 함께 공유해주면 좋겠다. 우리 서로가 서로의 보루가 되어 이 불의한 시대를 함께 건너갔으면 좋겠다.

77일 파업. 아직도 그날의 눈물들과 절규들이 귀에서 떠나지 않는다. 무자비한 공권력의 폭력 속에서 우리 함께 부르짖었던 말. “견뎌”. 우리는 끝내 승리하리라.

논설
사진
영상
카툰
판화
기획연재 전체목록

온라인 뉴스구독

뉴스레터를 신청하시면 귀하의 이메일로 주요뉴스를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