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인터내셔널, 우즈벡 강제노동이 맺은 목화에서 손 떼라”

국내외 인권단체, 대우인터내셔널과 모기업 포스코에 20만 서명 전달

우즈베키스탄 최대 면가공회사인 대우인터내셔널과 모기업 포스코에 전세계 20만여 명이 서한으로 우즈베키스탄 강제노동으로 나오는 목화에서 손을 떼라고 요구했다.

공익법센터 어필, 국제민주연대 등 국내외 인권단체는 10일 서울역 앞 대우인터내셔널 본사, 강남 포스코 본사에 우즈베키스탄 성인 및 아동 강제노동으로 수익을 내는 것을 멈추라는 190여 개국 20만여 명의 서한을 전달했다. 단체들은 지난 2년 동안 대우인터내셔널에 대해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강제노동을 멈출 때까지 우즈베키스탄에서 목화 구매를 멈추라고 캠페인을 벌여 왔다.

단체들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은 국가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강제 노동이 이루어지는 나라로, 해마다 100만 명 이상의 아동과 성인들이 목화 경작 및 수확과 관련된 노동을 강요당하고 있다. 강제노동으로 인한 사망사고도 계속돼 2013년에는 어머니를 따라 목화밭에 왔다가 목화 더미에서 자다가 질식사 한 6살 아미벡 락마토프를 포함해 11명이 목화 수확기에 사망했다.

  인권활동가들이 “강제노동을 멈출 때까지 대우 인터내셔널은 우즈베키스탄에서 목화 구매를 멈추라”는 의미의 퍼포먼스를 진행하고 있다.[출처]국제민주연대

이러한 강제노동에도 불구하고 대우인터내셔널은 매해 우즈벡 목화 전체 생산량의 5%를 구매해오고 있다. 1990년대부터 우즈베키스탄에 투자를 한 우즈벡 최초의 다국적 기업이며, 한국조폐공사와 합작으로 만든 GKD를 포함해 3개의 공장을 가지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반대로 대우 인터내셔널에 세금 감면을 포함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우즈벡 정부는 목화로 매년 최소 미화 10억 달러의 수익을 취하며, 이 돈은 최고위 정부 관료만이 접근 가능한 특별 예산 기금으로 들어간다.

단체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2012년부터 국제시민단체 코튼 캠페인(Cotton Campaign)은 대우 인터내셔널에 강제노동으로 생산된 목화를 구매하지 말고, 독립적인 인권 모니터링을 수행하라고 요구해왔지만, 대우 측은 계속해서 완강하게 그 요구를 거절해 오고 있다”고 비판한다.

최근 코튼 캠페인(Cotton Campaign)과 ILRF(International Labor Rights Forum)의 문제제기로 미국 정부는 대우가 강제노동에 의해 만들어진 제품을 미국 영토로 가지고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법을 위반했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10일 단체들은 228,425명의 서명이 담긴 항의 편지를 전달 한 후 다국적 기업에 관한 OECD 가이드라인에 근거해서 설립된 한국 국내연락사무소(NCP)에 강제노동에 연루된 대우인터내셔널에 대한 진정을 제기할 예정이다.

이날 캠페인에 참여한 공익법센터 어필의 김종철 변호사는 “우리는 오늘 대우가 기업 인권 존중 책임에 따라 강제 노동으로부터 수익을 얻지 않을 것을 요청한다”며 “대우인터내셔널은 우즈벡 목화 수확과 관련해 강제노동의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즈벡 목화 구입을 멈추기는 커녕 투자를 계속 늘려왔다”고 말했다.

우즈벡게르만인권포럼의 우미다 나야조바 대표는 “대우 인터내셔널이 계속 우즈베키스탄 정부로 부터 목화를 계속 구매하는 한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강제노동은 계속 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태그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정은희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