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의 재구성

국민 알권리 침해, 언론은 책임없나

피플파워  / 2007년05월28일 18시30분

하주영/ 언론의 재구성 시간입니다. 이번 주 언론의 재구성에는 민중언론 참세상의 이꽃맘 기자 나오셨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꽃맘/ 예 안녕하세요.


하주영/ 오늘 소개해 주실 내용은 어떤 건가요?


이꽃맘/ 정부가 지난 22일 ‘취재지원선진화방안’을 내 모든 언론이 한 목소리로 이를 비판하고 있는데요. 이에 대한 한겨레의 보도태도를 살펴보았습니다.



하주영/ 취재지원선진화방안 어떤 내용인가요?


이꽃맘/ 네, 전자브리핑 시스템 도입을 골자로 현재 37개 부처에 있는 기자송고실과 브리핑실을 3개로 축소해 합동브리핑센터를 운영하겠다는 것인데요. 기자실을 축소하는 대신 중앙행정기관에서 실시하는 브리핑을 동영상으로 실시간 온라인 송출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다음달 공사착공 이후 1~2개월간의 공사기간을 거쳐 8월 초 경 완료될 예정입니다.


하주영/ 개방형 브리핑제도로 일컬어지는 이번 정부의 방안이 겉으로는 참 좋은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에 대해 거의 모든 언론들이 비판하고 있는 걸 봤습니다.


이꽃맘/ 그렇습니다. 언론들은 물론이며 시민사회단체들도 정부의 이번 방안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데요. 현재 비판의 축은 국민의 알권리 축소라는 측면입니다.
문화연대는 23일 성명을 통해 “언론은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오히려 정부부처를 감시하는 역할을 국민들로부터 부여받았다”라며 “취재 및 브리핑실 운영의 효율화가 국민의 알권리에 절대 앞서서 생각되어서는 안 된다”라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이번 조치가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 1월 “몇몇 기자들이 죽치고 앉아 기사 흐름을 주도하는 기자실의 실태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라는 발언을 한 이후에 취해진 조치라 더 많은 반발을 불러오고 있는데요.
이에 대해 언론노조는 “이번 통폐합 방안은 대통령이 언론에 대해 갖고 있는 걸러지지 않은 감정이 그대로 묻어나고 있다”라며 “통폐합 방안은 정부에 대한 감시와 비판을 약화시키고 제약하는 의도와 결코 무관하지 않다”라고 비판했습니다.


하주영/ 한겨레의 보도태도도 이와 다르지 않을 것 같은데요. 어떤가요?


이꽃맘/ 그렇습니다. 이번 정부의 조치는 조선일보부터 시작해서 한겨레 까지 같은 입장을 가지고 있는데요. 언론들이 한 목소리를 내자 한나라당을 비롯한 정치인들까지 부화뇌동하며 언론들의 입장을 옹호하고 나서고 있습니다.
한겨레는 22일 ‘비판과 토론 외면하는 노무현 정부’라는 사설을 통해 “어떤 정보를 내놓을지, 어떤 질문에 답변할지 등을 모두 정부 쪽이 정하게 된다”라며 “이런 비대칭적 구조에서 정보개방이 확대되고 투명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기민이다”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감시 대상이 되어야 할 정부가 스스로 그 방법을 정하겠다고 하는 것은, 언론의 공적 구실을 외면하고 업무 방해자로만 보는 전근대적 언론관에 다름 아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하주영/ 다른 보도는 어떤 가요?


이꽃맘/ 한겨레는 22일, 김기성, 노성웅 기자는 알권리 막는 정부 태도 사례를 들며 “공무원들이 정부의 방안대로 성실하게 취재에 응해준다면 기자들이 사무실을 출입하지 못한다고 해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라며 “하지만 공무원의 의식과 행동이 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런 방안이 언론 접촉만 막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지적하는 기사를 보도했습니다.


하주영/ 한겨레의 지적이 일정 타당한 면이 있는 것 같은데요.


이꽃맘/ 그렇습니다. 저도 취재를 하다가 한겨레가 지적한 경우를 많이 접하곤 하는데요. 정부 당국자들에게 멘트를 하나 따기 위해서는 수 십 통의 전화를 걸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결국 돌아오는 말은 대답할 수 없다거나 자리에 없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다반사입니다.
하기에 한겨레가 지적하듯이 정부가 기자들의 행태나 취재시스템의 문제를 지적하기 전에 그동안 중요한 자료나 국민들의 비판이 있을 것 같은 자료들을 제대로 공개하지 않는 태도가 먼저 바뀌어야 할 것입니다. 한미FTA 당시에도 드러났듯이 정부가 정보를 제대로 알리지 않아 국민들의 알권리와 판단의 근거를 축소시켰던 예가 있습니다.


하주영/ 근데 정언 유착 문제가 계속 드러난다든지, 지금의 기사실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기도 하잖아요.


이꽃맘/ 그렇습니다. 한겨레를 비롯한 언론들과 시민사회단체들의 지적이 일정 타당하지만 한겨레를 비롯한 현 언론들은 기자실의 존재로 인해 오히려 정보가 일부 기자들에게 독점되고 있는 문제나, 정부와 언론의 유착과 비리가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는 것에 대한 스스로의 성찰은 찾아볼 수가 없었습니다. 이에 대해 인터넷기자협회는 성명을 통해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하주영/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죠?


이꽃맘/ 인터넷기자협회는 “기자송고실의 기자실화, 일부 기자의 공무원 업무 공간 무단출입 등은 언론과 정부 모두의 책임이 크다”라며 “청와대와 국무총리실의 기사 송고실은 고정좌석제로 운영되면서 폐쇄적인 기자실로 여전히 운영되어 왔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인터넷기자협회는 “언론사와 기자 스스로 잘못된 취재 방법과 관행을 고치고, 개혁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라며 “과거의 잘못을 전혀 반성하지 않고, 현재에도 자신들을 개혁하지 않으면서 앞으로도 기득권을 고수하려고 강고한 카르텔을 형성하고 있는 반개혁, 수구적 언론사에 큰 책임이 있다는 점을 분명히 지적하고자 한다”라고 밝혔습니다.


하주영/ 현 취재시스템에 대한 기자들의 반성도 동반되어야 한다는 것인데요.


이꽃맘/ 한겨레 21은 2000년 ‘성역 깨기, 기자의 천국 특혜의 밀실’을 통해 기자실의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습니다.
당시 보도는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뉴스가 나오는 기관에 기자를 상주시켜 고정적으로 정보를 얻어 보도하는 출입처 취재방식이 배타적 기자실 관행을 낳은 장본인”이라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물론 7년 전 보도이기도 해 현재 기사실의 행태가 이와 같다고 얘기할 순 없겠지만 여전히 배타적 기자실의 문제가 사라졌다고 할 순 없을 것입니다. 정부의 제대로 된 정보공개가 국민의 알권리를 위해 우선되어야 하지만 그간 기자실로 집중되어 있던 언론권력의 문제를 진지하게 돌아보는 보도가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하주영/ 피플파워 116회 1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잠시 후 2부에서 뵙겠습니다.
참새회원이라면 누구나 참세상 편집국이 생산한 모든 콘텐츠에 태그를 달 수 있습니다. 이 기사의 내용을 잘 드러내줄 수 있는 단어, 또는 내용중 중요한 단어들을 골라서 붙여주세요.
태그: 한겨레
태그를 한개 입력할 때마다 엔터키를 누르면 새로운 입력창이 나옵니다.

트랙백 주소 http://www.newscham.net/news/trackback.php?board=power_news&nid=40966[클립보드복사]

민중언론 참세상의 재도약에 힘을 보태주세요

덧글 쓰기

민중언론 참세상은 현행 공직선거법 82조에 의거한 인터넷 선거실명제가 사전 검열 및 표현의 자유를 제약하므로 반대합니다. 이에 따라 참세상은 대통령선거운동기간(2007.11.27 ~ 12.18)과 총선기간(2008.3.31 - 4.9) 중 덧글게시판을 임시 폐쇄하고 진보네트워크센터의 토론게시판의 덧글을 보여드렸습니다.
선거운동기간이 종료되었으므로 기존 참세상의 덧글게시판 운연을 재개하며, 선거운동기간 중 덧글은 '진보넷 토론게시판 덧글보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선거실명제 폐지 공동대책위원회  ->참세상 선거법 위반 과태료 모금 웹사이트

잘 읽으셨으면 한마디 남겨주세요.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