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성리 할머니들이 부르는 ‘임을 위한 행진곡’

[소성리를 쓰다⑤] “우리가 어떤 심정으로 투쟁가를 부르는지 당신이 아요?”

5.18 광주항쟁 41주년을 맞은 지난 5월 18일 새벽, 경북 성주군 소성리에 1,500명의 경찰 병력이 들어왔다. 이들은 사드 기지 장비 반입 위해 주민을 고립시키고 반발하는 이들을 강제해산시켰다.

2016년 소성리에 사드 배치가 결정된 이후, 지난 5년간 주민들은 끊임없는 경찰 폭력에 시달렸다. 촛불정부를 자임하던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에도,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덮친 2020년에도 폭력과 침탈은 이어졌다. 소성리 주민들의 투쟁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주민들을 상대로 소환장이 날아들기 시작했다.

소성리 마을 주민인 시야 기록노동자는 지난해 5월부터 소성리 마을에서 벌어진 일들을 기록해오고 있다. <참세상>은 총 11회에 걸쳐 시야 기록노동자의 글을 연재한다. <편집자 주>


연재 순서

① 2021년 5월 14일 새벽, 기나긴 소성리 싸움의 시작
② 5월 18일의 침탈…소성리는 40년 전의 광주
③ 열 번째 경찰 침탈, 결국 구급차를 탔다
④ 기사 한 줄 실리지 않는 소성리의 ‘야만의 시간’
⑤ 소성리 할머니들이 부르는 ‘임을 위한 행진곡’
⑥ “경북기동대장 김광섭은 소성리를 떠나라”
⑦ 60년 일군 땅, 사드가 눈앞에서 없어지면 좋겠다
⑧ “놀면 뭐하노, 진밭에 올라가 보초나 서지”
⑨ 소성리 할머니들과 아사히비정규직 노동자들
⑩ ‘체포’와 ‘감금’이 일상이 된 소성리 마을
⑪ “문재인은 사드 못 뽑는다. 우리가 뽑는다”

  8월 5일 28차 침탈 당시 성주평화여성모임에서 아침식사를 준비했다 [출처: 이재각 사진가]

마을회관 부엌이 분주해지기 시작했다

경찰병력이 소성리로 들어온 5월 14일부터 해결해야 할 일이 생겼다.

사람들은 새벽부터 소성리로 달려와 한판 싸우고서는 출근을 하거나 하우스와 과수원, 논밭으로 농사를 지으러 가야 했다. 새벽부터 열을 내고 땀을 쏟으며 전쟁을 치룬 사람들에게 아침밥을 먹여야 했다. 첫날은 사드배치반대김천시민대책위에서 빵과 음료 그리고 김밥 등의 요깃거리를 챙겨와 나눠먹었다. 전쟁은 하루 만에 끝날 줄 알았지만, 화요일과 목요일, 일주일에 두 차례 정기적으로 병력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매번 김밥을 사먹으려면 비용이 만만치 않았다. 소성리부녀회장님은 김밥 사먹을 돈으로 마을회관에서 밥을 짓겠다고 했다.

소성리마을회관의 부엌이 분주해지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연대하러 온 사람들이 몇 명 되지 않아 20~30인분 정도면 충분했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소성리 상황이 알려지며 더 많은 연대자들이 새벽부터 달려오기 시작했다. 그러다보니 30~40인분의 아침식사가 70명분으로 늘었다. 쇠고기 국을 끓이기도 하고, 국 없이 반찬만으로 밥을 먹기도 했다. 밥을 짓고 먹는 일도 전쟁 같았다.

할머니들은 싸우기도 힘든데 밥까지 다 해 먹이려고 했다. 그 모습이 너무 힘들어보였다. “우리 동네 일로 그 먼데서 새벽부터 왔는데 밥도 안 해 먹이면 되겠나. 이게 다 우리 동네 위한 일 아니가?” 금연 할머니가 말했다.

  6월 15일 13차 경찰 강제진압 당시 도경임 할머니
[출처: 사드철회상황실]

6월 15일에도 1,000여명의 경찰병력을 태운 경찰버스가 소성리로 밀고 들어왔다. 13번째 경찰침탈이었다.

새벽 4시에 눈을 떴다. 카메라 촬영을 좀 더 적극적으로 해야겠다고 마음먹고 일찍 집을 나섰다. 소성리로 가는 길에 경찰버스 한두 대는 만날 법도 한데, 이상하게 버스 한 대 마주치지 않았다. 소성리에 도착하니 낯익은 정보과 형사만 여럿 나와 있었다. 마을회관 앞 난롯가에는 재영 아재만 커다란 전기 물통에 물을 끓이며 분주하게 왔다 갔다 했다.

사람들이 하나 둘 소성리로 모여들기 시작했다. 박규란 어머니가 허리를 구부정하게 굽히며 걸어 오셨다. 영 불편한 기색이었다. 요 근래 밭일이 바빠서 일을 많이 했더니 허리가 아프다고 했다. 할머니들 모습이 안 보여서 마을회관으로 들어갔더니, 백광순 할머니가 돼지고기를 썰고, 금연 할머니가 마을 빻을 준비를 하신다. 허리를 곧게 펴지 못하는 규란 어머니는 김치통을 꺼내 김치 썰 준비를 하신다. 조금 뒤 소성리부녀회장님이 지팡이를 짚고 절뚝거리며 부엌에 들어섰다. 모두 가슴이 철렁했다. 할머니들이 어쩌다가 다쳤냐고 물었다. 부녀회장님은 마늘을 캐고 양파를 수확할 철이라, 지난 주말에 양파 망을 들다가 허리를 삐끗했다고 한다. 앉아 있을 수 없을 정도로 허리통증이 심해서 지팡이까지 짚고 길을 나선 모양이었다.

  6월 15일, 사드철회성주대책위 이종희위원장
[출처: 사드철회상황실]

오늘은 스무 명 넘는 대학생들이 서울서 버스를 타고 연대를 온다고 했다. 새벽 5시 30분. 주민과 연대자들을 위해 돼지 김치찌개를 끓이느라 마을회관 부엌이 분주했다.

회관 바깥에서는 대학생들의 젊고 생기발랄한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경쾌하게 들렸다. 5시 4~50분경, 경찰버스가 줄지어 들어오기 시작했다. 우리는 소성리마을 앞 도로에 자리를 잡고 앉았다. 다행히 멀리서 연대 온 분들이 있어 초라하지 않았다.

경찰 진압 와중에도 아침밥 걱정

강형구 장로님의 아침기도회로 사드기지 건설공사 저지행동이 시작됐다. 6시 20분이 되자 경찰이 방송을 시작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서로 팔짱을 끼기 시작했다. 6시 40분 경, 원불교 김선명 교무님이 법회를 시작하자 경찰 진압이 시작됐다. 그 와중에도 앞자리에 앉은 규란 어머니는 부엌에 밥이 잘 됐는지, 국이 쫄지는 않는지를 걱정을 했다. 가장자리에 앉은 문영희 어머니에게 부엌을 살펴보라고 일렀다. 문영희 어머니가 회관 부엌을 다녀와서는 밥과 국이 어찌 되고 있는지 알려주었다. 경찰 진압으로 소란스러운 와중에도 할머니들은 아침밥 걱정을 했다.

경찰이 가장자리에 앉은 남자들부터 무지막지하게 끌어내기 시작했다. 경찰 종교안전팀은 김선명 교무님을 둘러싸고 종교 행사 물품을 치우려고 했다. 김선명 교무님은 목탁을 꼭 쥐고 놓지 않았다. 할머니들은 가장 앞자리에서 교무님을 바라보고, 등 뒤에서 들려오는 연대자들의 비명소리에 뒤를 돌아보았다. 경찰 진압 과정에서 할머니들의 안전이 위험하지 않을까, 교무님은 경찰들에게 할머니들의 안전을 신신당부했다. 종교안전팀이 교무님을 끌고 나가려 하자 교무님은 목탁을 두드리며 독경을 외기 시작했다. 할머니들도 두 손을 꼭 모으고 기도를 올렸다.

  6월 15일 13차 경찰의 강제진압 [출처: 사드철회상황실]

목탁 소리와 기도 소리가 경찰의 소란에 뒤덮였다. 내 카메라 마이크에는 할머니들의 가냘픈 입술에서 새어나오는 기도 소리와 한숨 소리가 들렸다. 끝날 줄 모르는 소성리의 전쟁 같은 일상을 어찌 기도로 되돌려놓을 수 있을까. 그럼에도 경찰 폭력에 매번 속수무책으로 끌려 나오는 우리가 기도라도 하지 않으면 또 어찌 지금의 시간을 버텨낼 수 있을까.

“우리가 어떤 심정으로 투쟁가를 부르는지 당신이 아요?”

하루는 공사인부와 경찰버스가 퇴근하는 오후에 평화행동을 하러 소성리로 올라갔더니 할머니들이 바람이 잘 통하는 자리를 잡고 앉아계셨다. 백광순 할머니는 진밭교 아래에 형광벌레 같은 경찰들이 우르르 모여 있는 모습을 보면 가슴이 답답하다고 했다. 옆에 있던 정보과 이 형사가 투쟁가를 부르라며 농담을 했다. 그 말을 들은 백광순 할머니가 호통을 치셨다. “우리가 어떤 심정으로 투쟁가를 부르는지 알고나 그런 말을 하느냐.” 이 형사는 그런 농담을 한 게 미안했던지 할머니께 사과를 했다고 한다.

  5월 25일 7차 경찰침탈 당시 소성리 할머니들 [출처: 사드철회상황실]

그러고 보면 나도 할머니들이 어떤 심정으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고, ‘사드가고 평화오라’를 부르는지, 할머니들의 마음을 헤아린 적이 있었던가. 나는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하면서, 할머니가 새벽잠을 설치고 일어나 마을회관으로 오는 동안 무슨 생각을 하는지 궁금해 한 적이 없었다. 경찰병력이 소성리로 쳐들어오는 날이면 새벽 일찍 마을회관으로 나와서 밥을 짓고 국을 끓이는 소성리부녀회장님과 규란 어머니의 심정이 어땠을지, 소성리로 밀려들어오는 경찰버스를 보는 할머니들의 심정이 어땠을지, 사드기지로 올라가서 평화행동을 하고, 진밭을 지키며 사드기지로 들어가는 차량을 감시하는 할머니들이 어떻게 시간을 견뎌내는지, 그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 적이 있었던가. 다 안다고 생각했지만 알지 못했다. 할머니들이 왜 싸우는지, 어떻게 싸우고 싶은지, 언제까지 싸울 건지, 그들의 생각을 제대로 들어본 적이 없었다.

백광순 할머니의 “우리가 어떤 심정으로 투쟁가를 부르는지 당신이 아요?”라는 호통은 단지 이 형사에게만 한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덧붙이는 말

[기록노동자 시야] 소성리사드-미군기지 건설을 반대하는 성주주민이다. 노동자 편드는 글을 쓰고 싶어서 인터뷰하고 기록한다. 함께 쓴 책으로 <들꽃, 공단에 피다>와 <나, 조선소 노동자>,<회사가 사라졌다>가 있다.

태그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시야(기록노동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
  • 조은학

    사람들은 소성리 어머니들을 아무것도 모르는 촌로로 생각한다. 그래서 언젠가 운동권이 어머님들을 앞세워 자신들의 이익을 취한다는 말까지 했다. 그 말을 한 이들은 어머니들께 진심어린 사과를 해야 한다. 어머님들은 살아오신 긴 세월 속에서 그 누구보다 현실을 직시하고, 무엇이 옳은지를 정확히 간파하신다는 걸 모르고, 단지 누군가의 수단으로만 여긴 것이다. 소성리 ‘전투’에서 가장 큰 힘은 바로 어머님들이라는 걸 그들은 절대 모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