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앰네스티가 광우병 위험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반대하는 촛불집회 과정에서의 경찰 폭력진압과 인권침해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한국에 조사관을 파견하기로 했다.
앰네스티는 동아시아 담당 조사관인 노마 강 무이코 씨를 내일(4일) 급파해, 2주 동안 경찰의 과잉진압 논란에 대해 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무이코 조사관은 촛불집회에서 부상을 입은 피해자와 목격자, 정부 관계자 등을 만나 집회 진압과정에서 인권침해가 있었는지를 집중 조사한다.
국제앰네스티가 연례적으로 있는 정기 조사 이외에 비정기 조사관을 한국에 파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과거 박정희 정권때도 앰네스티가 한국에 비정기 조사관을 파견한 적은 없다. 앰네스티가 특정 조사를 위해 비정기 조사관을 파견하는 것은 세계적으로도 드문 일로, 수단 다르푸르 사태와 이라크 전쟁 당시 비정기 조사 정도의 사례가 있다.
앞서 국제앰네스티는 "한국 정부의 촛불집회 과잉진압을 우려한다"는 내용의 성명서와 보도자료를 두 차례 냈었고, 아이린 칸 사무총장이 이명박 대통령에게 직접 비공개 서한을 보내 "한국에서 집회와 표현의 자유가 침해되고 있다"고 했으나, 답신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고은태 앰네스티 한국지부 지부장은 2일 CBS라디오 '시사자키 고성국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국제 앰네스티가 현재 한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상황을 대단히 긴급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고은태 지부장은 "수단과 이라크의 경우 많은 인권침해가 발생했기 때문에 앰네스티가 입국했었고, 한국의 경우 현재 인권침해 상황을 빨리 확인해야만 예방과 대응책 마련이 가능하다"고 필요성을 설명했다.
고은태 지부장은 또 "아이린 칸 사무총장이 이명박 대통령에게 비공개 서한을 보내 과도한 무력행사와 집회와 표현의 자유 침해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으나, 유감스럽게도 정부의 답신이 없었다"고 전했다.
아울러 "지금 시점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한국의 인권상황을 크게 후퇴시키는 일이 된다면, 한국 인권을 위해서도 대단히 불행할 뿐만 아니라 아시아 지역에서도 굉장히 큰 손실이 될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