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촌 가는 길

[이수호의 잠행詩간](51)

명동촌 가는 길
너무도 한가하고 평화로웠다
눈이 몇 자로 깊이 쌓여
거친 바람 밤낮없이 불어도
그렇게 완강하던 벌판
한 치의 양보도 용납하지 않던 언덕
그 눈들은 하얗게 눈처럼
다시 산살구꽃으로 피어났다

어린 윤동주 이 길 걸으며
또 다른 고향의 십자가를 품었던가?
이 고운 꽃길에서
그는 왜 시가 되려 작심했나?
샛바람에 하늘거리는
그해 가장 먼저 핀 꽃잎 같은
여리고 고운 시

대륙의 끝자락 만주 벌판은
진달래 한 송이도
겨우내 눈바람에 맞서 시퍼렇게 날선
서릿발로 피우고 있었다

* 윤동주, 문익환이 함께 자랐던 만주벌 명동촌을 지난봄에 다녀왔다. 몸이 아파 815를 집에서 보내며, 윤동주를 다시 읽었다. 남의 땅 하숙방에서 시가 쉽게 씌어 진다고 괴로워하던 스물일곱의 윤동주를 만나며 몹시 부끄러웠다. 그리고 부러웠다. 윤동주는 시가 되었다.
논설
사진
영상
카툰
판화
기획연재 전체목록

온라인 뉴스구독

뉴스레터를 신청하시면 귀하의 이메일로 주요뉴스를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