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KPS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고 김충현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가 19일 오전 11시,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전KPS의 불법파견 중단과 비정규직 노동자 전원의 직접고용을 촉구하며 농성에 돌입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서울지방법원 판결과 고용노동부 근로감독이 연달아 불법파견을 확인하고도 정부와 한전KPS가 직접고용을 미루고 있다”고 목소리 높였다.
출처: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기자회견에서 대책위는 “고 김충현 노동자가 사망한 지 170일이 지났지만 위험의 외주화 구조는 멈추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대책위와 정부가 발전소 내 노동자들의 고용과 안전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구성한 ‘발전산업 고용안전 협의체’ 역시 한전KPS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직집고용을 의제로 처리하지도 못한 채 교착돼 있는 상황이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협의체가 핵심 과제를 외면한 채 실질적 변화가 없었다”며 정부 책임을 강조했다.
양한웅 김충현 대책위 공동대표는 “대통령, 국무총리, 국회의장까지 약속했지만 6개월이 지나도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았다”며 “정부가 노동자들의 농성이 길어지기 전에 직접고용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희종 민주노총 세종충남본부 본부장은 “발전소에서 반복되는 중대재해의 희생자는 항상 하청 노동자였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 6일 있었던 울산화력 발전소 보일러 해체 작업 중 발생한 붕괴 사고를 언급하며 “법이 있어도 원청 책임은 제대로 묻지 않고, 위험은 계속 외주화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영훈 공공운수노조 한전KPS비정규직지회 지회장은 “정부가 약속했던 직접고용 문제는 협의체에서 진전이 없었고, 그 사이 발전소에서는 또 참사가 일어났다”고 말했다. 이어 “불법파견을 용인하는 태도를 멈추고 대통령이 책임 있게 해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대책위와 노동자들은 기자회견을 마친 뒤 대통령실 인근에 농성장을 설치했다. 출처: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대책위와 노동자들은 기자회견을 마친 뒤 대통령실 인근에 농성장을 설치했으며, 오는 28일 ‘죽음의 발전소를 멈춰라’ 추모문화제, 12월 10일 고 김용균 7주기 문화제를 같은 장소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