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사람

[인다방] 12월에 부르는 환희의 송가

몇 년 전의 일이다. 매일 새벽 수영장엘 다니다 어느 날 갑자기 귀가 멍~해지는 것을 느꼈다. 처음엔 물이 들어갔으려니 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는데 증상이 나아지지 않아 병원을 찾고 보니 청력이 조금 떨어진다며 정밀 진단을 하자고 해 놀란 적이 있다. 다행히 며칠 약을 먹으니 청력도 회복되고 멍~한 현상도 말끔해졌지만 이런 증상을 보인 환자가 이를 방치할 경우 30%정도는 결국 소리를 전혀 듣지 못하는 경우에까지 이른다는 의사의 말에 얼마나 겁을 집어 먹었던지 지금 생각해도 머리카락이 다 쭈뼛거릴 정도다. 더구나 나는 음악을 한다는 사람인데 말이다.


듣는 것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으니 말인데 서양음악의 역사에도 청력을 잃었던 음악가들이 몇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사람은 단연코 이 사람. ‘루드비히 반 베토벤’이고 말이다. 사실 장르를 막론하고 연말에는 정말 크고 작은 공연들이 많은데 특히 클래식 공연에서는 12월이면 빠지지 않은 레퍼토리가 있으니 그 곡이 바로 베토벤의 <교향곡 9번>, 일명 <합창 교향곡>이다. 이 곡에 대해 아직 감이 오지 않는 사람이라면 학창 시절 음악 교과서에 등장했던 노래 “환희의 송가”를 떠올리면 된다. 이 노래가 합창 부분으로 들어있는 관현악곡이 바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이다.


“.... 찬란한 환희의 빛 속으로 엄한 관습으로 갈라진 우리는 당신의 마력으로 화합합니다. 그대의 부드러운 날개 아래 고통 받는 인류는 모두 한 형제가 됩니다.”


베토벤이 이 곡을 작곡할 당시 그는 이미 청력을 완전히 상실한 뒤였다. 청력을 서서히 잃어가던 무렵 적잖이 방황하며 한 때 자살을 결심하기도 했던 그였지만 베토벤은 자신을 이 시련으로부터 건져 올렸고 음악사적으로 전무후무한 이 곡을 작곡하면서는 어느덧 개인적 욕망을 넘어서 승리와 환희, 인류애를 노래하는 경지를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베토벤은 많은 사람들이 이 교향곡이 갖는 의미를 더 잘 알도록 하기 위해 가사를 채택한 것이었고 선율 역시 쉽게 만들어 따로 노래 불려 지도록 배려하고 있고 말이다. 그런 이유로, 그 후로도 오랫동안, 우리는 매년 12월이면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무대에 올리며 인류의 화합과 평화를 기원한다. 비록 그 끝이 멀게 느껴질지언정 올해도 어김없이 환희의 송가가 반가운 이유는 거기에 있는 것이다.

태그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문태경 | 음악칼럼니스트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