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사람

[특집] 이 사회는 언제쯤 센스가 생겨날 런지

비혼 여성에게 집이란…

처음 만난 사람들이 하는 질문 중에는 ‘어디 사세요?’ ‘혼자 사세요?’가 있다. 집으로 가는 길의 동행인을 확보하고 싶은 욕구와 주거형태에 대한 관심 때문일 것이다. 보통 혼자 산다고 하면, ‘아, 자취하시는구나~’라는 말을 종종 듣는다. 손수 밥을 지어 먹으면서 생활한다는 의미에서 그다지 틀린 말은 아니나 ‘혼자 사는 사람=자취하는 사람’이라는 공식에는 딴지를 걸고 싶어진다.


집에서 다니는 학생과 구분하기 위해 유학생을 자취생이라고 한다. 그래서 ‘자취’에는 독립적인 사회인이 되는 과정에서 존재하는 임시적인 삶의 형태라는 냄새가 난다. 가족과 같이 사는 사람한테는 그 구성원들이 손수 밥을 해먹고 자신을 위한 가사노동을 하고 있더라도 자취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는다. 우리 사회는 여전히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는 사람은 독립된 주체로 자신의 공간에서 사는 게 아니라 임시적인 거처에서 불완전하게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보다. 누구랑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결정과 선택은 평가가 아니라 그 자체로 인정해 주어야 하는 것인데도 말이다.


나는 혼자 사는 것을 택했다. 나이를 먹을수록 결혼하고 싶은 생각은 점점 사라지고 형제자매들과 같이 사는 것도 불편하기 때문이다. 부모님이 계신 고향으로 낙향하고 싶은 맘도 없다. 친구들과 함께 사는 것도 생각해 봤으나 안 싸우고 잘 살 수 있는 동거인을 만나는 게 쉽지 않기도 하고 공동체에서 오는 이런저런 불편함 때문에 포기했다.


일 년 정도 어학연수를 갔다가 돌아와 둘째 언니네 집에서 머물렀던 적이 있다. 집안일과 조카 공부를 봐주는 대가로 생활비 안 들이고 식사도 공짜로 해결할 수 있어 편했다. 하지만 밖에서 사람들과 술 마시고 늦게 들어가는 날이면 언니는 일찍 다니고 일찍 들어오지 못하면 차라리 외박을 하라고 했다. 한 번은 외박을 했더니 이번에는 외박은 애들 교육에 좋지 않으니 안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래서 빵을 버리고 자유를 선택했다. 없이 살아도 맘 편히 자유롭게 살아야 나는 행복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혼(단독세대주)의 경우는 국가에서 지원하는 전세금대출금을 받는 것조차 힘들다. 그래서 더욱 나의 주거공간은 협소하고 살림살이는 공간에 맞추어 최소의 규모를 유지하게 된다. 이런 사정은 아랑곳없이 사람들은 아직 ‘정착’ 내지는 ‘안정’을 못해서 단출하다고만 생각한다. 소위 결혼을 통한 가정이 거주하는 집만이 의미 있는 것처럼… 사람이 혼자 살든 여럿이 살든 기본으로 갖추어야 할 것은 똑 같은데 아무도 비혼의 주거에는 세심한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나날이 고층 아파트들이 올라가고는 있지만 지나치게 넓은 평수, 최소 4인 가족을 위한 사이즈다. 신도시를 중심으로 싱글족들을 위한 공간이 점차 생겨나고는 있지만 그것 역시 그림의 떡! 언제부턴가 나이든(?) 싱글 여성은 TV에서 가공해 놓은 소위 전문직 여성으로 그려진다. 싱글을 위해 새로 태어나는 공간은 경제적 능력과 여유를 갖춘 사람들의 몫이기 때문이다. 나 같은 소시민 저소득층 여성은 어디로 가란 말인가.


누구에게나 집은 밖에서의 피로를 풀고 편하게 쉬며 나만의 시간을 가질 수 공간일 거다. 이런 공간에 대한 나의 소박한 욕구가 ‘혼자 사는 여자’라는 이유로 임시적, 일시적 공간으로, 불편해도 잠시만 참으면 되는 시간들로 간주되지 않기를 바란다. 책을 보다 TV를 보다 커피를 마시기 위해 열 발짝 정도는 걸어야 하는 나만의 공간에 대한 배려, 여기에 ‘안전’을 갖춰주는 센스를 이 사회에 기대해 본다.

태그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이경숙 | 프리랜서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