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사람

[달리는 포장마차] 국익이 뭐길래?

켄 로치의 영화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지난여름 한 언론사의 ‘한국인은 무엇인가’란 설문조사에서 “가장 한국인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은?”이란 묘한 질문이 있었는데 하인즈 워드, 윤수일, 다니엘 헤니, 로버트 할리를 제치고 유승준이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이처럼 한편 웃기면서도 두려운 것이 ‘국익’이고 국익론, 국익 지상주의다.


2002년 월드컵 때 ‘붉은 악마’한테서 신문명의 원형을 봤다는 김지하는 “미국을 덮어놓고 제국주의라고 해서는 안 되고, 한국과 미국이 손잡고 네오 르네상스를 창출”해야 한다지만, 이미 한국은 미국의 뒷자리에 앉아 열심히 국익을 주워 담고 있다.


여론조사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략 50%에 가까운 사람들이 이라크 자이툰 부대의 파병연장에 찬성한다. 또 50%를 훨씬 웃도는 사람들의 지지를 받고 있는 유력 대선주자는 “미래의 에너지 전쟁에서 자이툰 부대의 역할은 중요하다”고 공공연히 말하고 다닌다. 파병연장에 반대하는 대선후보들도 그 이유가 “국민과의 약속이 중요하다”(국민이 원하면 더 있을 수 있다?)거나 “더 이상 국익에 보탬이 안 된다”(더 챙길 게 있으면?)는 것이니 국익을 위해서라면 전쟁도 불사할 날이 그리 멀지 않았다.


이런 우울한 시국에 마눌님이 출산을 한다고 덩달아 책 한권, 영화 한편 못 보다가 우연히 주말의 영화로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을 보게 되었다. ‘빵과 장미’로 유명한 좌파 감독 켄 로치의 이 영화는 아일랜드 독립운동을 다루고 있는데, 후반부는 아일랜드 독립군 우파인 형 ‘데디’와 좌파 무장투쟁 노선을 견지한 동생 ‘데미안’의 갈등에 초점을 맞춘다. 이 둘은 좌우파의 대립이 생기기 전까지 함께 아일랜드의 독립을 위해 싸웠고, 형을 대신해 동생 데미안은 조직 내 반역을 했던 친구를 직접 총살하기까지 한다.


“조국이란 이렇게까지 할 가치가 있는 거겠죠?” 동생은 총을 쏘기 직전에 묻는다. 하지만 그는 결국 다른 조국을 꿈꿨다는 이유로 형 앞에서 죽임을 당하며 영화는 끝을 맺는다. 결국 조국이니 국익이니 하는 것들은 그 앞에 ‘어떠한’이란 수식이 없는 한 그저 추상명사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이 영화를 굳이 보지 않더라도 우리는 이미 너무나 많은 피의 대가로 역사를 통해 배우지 않았나.

태그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강곤 |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