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체스코의 길 따르는 첫 번째 실천

[기고] 굴뚝농성 85일 8.23 스타케미칼 희망버스를 타자

부족한 시민의 힘이 아직 해결하지 못한 수많은 사안들의 해결을 교종 프란체스코에게 부탁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제 그가 떠났으니, 그가 우리에...

이주노동자 고용허가제 10년, 노예허가제였다

[기고] 차별과 착취의 10년을 맞이하며

고용허가제 10년을 맞이하는 지금, 운동진영은 과거와는 달리 ‘고용허가제 폐지’에 합의하고 있고 최근 4대 종단 이주, 인권단위도 ‘노예허가제’...

통상임금 감옥에 갇히지 말고 세월호 투쟁을

[연속기고] 차광호의 굴뚝일기(6) 14~15 세월호 집회에 노동자가 함께 하길

8월 23일에는 ‘스타케미칼 희망버스’가 온다는 연락을 받았다. 고맙고 감사한 마음이다. 스타케미칼은 또 하나의 노동의 세월호다. 많은 동지들이...

세월호 특별법 기소권이 절실한 이유

[기고] 증거인멸, 책임회피 결론으로 억울한 죽음은...

국정조사에서도 보인 것처럼 국정원, 해경 등 관련 국가기관들은 증거인멸과 책임 회피로 일관했다. 그 결과 밝혀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수사권과 ...

위험천만한 현대차 불법파견 노사교섭

[기고] 불법노동 묵인 사내하청 선별채용 논의

조합원들은 단계적으로 정규직이 되고, 비의장 라인은 모두 사내하청으로 채워지게 됩니다. 모든 사내하청 정규직 전환이라는 요구를 내걸고 싸워온 노...

굴뚝의 폭염 날리는 시 한 편

[연속기고] 차광호의 굴뚝일기(5) 조성웅 시인이 건네준 시집

시를 읽으면서 세상에 대한 분노와 지금의 나의 모습, 동료들의 아픔이 겹쳐져 눈물이 흐른다. 시가 나에게 큰 힘이 된다는 것을 태어나서 처음 알...

에볼라에 달려드는 기괴한 재난자본주의

[기고] 생명보다 이윤을 우선하는 재앙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전 세계의 관심은 이유가 어찌되었든 다행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에볼라 치료제 개발이 인류의 안전과 생명을 우선하는 방...

7.30 재보선이 드러낸 진보의 난관과 진정한 과제

[기고] 새민련 기대 끊고 진보운동 단결해야

진보의 분열과 위기 속에서 세월호같은 명백한 문제에서도 강력한 운동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새민련에 끌려다니는 게 현재 상황이다. 내란음모 사건에 ...

왜 하마스는 휴전 협정안에 도장을 찍지 않나

[기고] 먼저 깬 것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은 누구보다 평화협정을 원한다”

지금의 학살의 멈추는 일은 평화 회담이나 휴전 협정안 따위가 아니다. 이스라엘의 끊임없는 점령의 악순환을 끊도록 국제 사회에서 이스라엘을 다각도...

미디어충청 삼성서비스 취재 후기를 읽고[2]

[기고] 나가도 너무 나간 거짓 주장은 왜?

미디어충청 기사에 대해 사회진보연대 부설 노동자운동연구소 연구실장 한지원 씨는 자신의 페북과 삼성서비스지회 카톡방에 ‘삼성 매파의 역공작’ ‘삼...

노회찬의 해괴한 행동[8]

[기고] ‘세월호 사건’과 진보좌파정치, 그리고 ‘동작을’

더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자신이 출마를 안했으면 그냥 보수야당의 후보와 수구정당 후보, 노동당의 김종철 후보 등이 대결하는 구도가 됐을 터인데...

어용노조에 맞선 기간 신분보장 안 된다?[1]

[연속기고] 차광호의 굴뚝일기(3) 사회적파업연대기금이 너무나 고마운 밤

금속노조에는 투쟁을 하다가 길어져 생계가 어려워지면 장기투쟁기금이라는 신분보장기금을 지급한다. 우리는 작년부터 금속노조에 장기투쟁기금을 요청했다...

조금씩 벽장문을 열고 있는 HIV/AIDS감염인 커뮤니티[1]

[기획연재] 이제 그들을 맞이할 준비를 하자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그들과 나란히 서서 함께 화내고, 그들의 이야기를 판단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귀 기울여 주는 것이다. 얼굴이 노출될까 두...

세월호와 나, 내가 청와대로 가는 이유[1]

[기고] 세월호는 내 문제이자 우리 모두의 문제

이것은 저의 문제이고 세월호는 우리 모두의 문제입니다. 정리해고는 기업의 이윤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고 하는 나라정책을 바꾸지 않으면 저와 같...

인도네시아 대선, 조코 위도도는 민중의 희망인가?

[기고] “위도도, 지배계급엔 차선, 민중에겐 차악”

지난 9일 치러진 인도네시아 대선이 끝났고 이제 결과발표를 기다리고 있다. 이 글에서는 선거 결과 발표에 따라 단기적으로 예상되는 정세를 먼저 ...

논설
사진
영상
카툰
판화
기획연재 전체목록

온라인 뉴스구독

뉴스레터를 신청하시면 귀하의 이메일로 주요뉴스를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