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포보 41일 고공농성에도 MB정권은 모르쇠

여주 이포보 고공농성 활동가 3명, 41일만에 귀환

4대강 사업 저지를 위해 27m 교각에 올라 고공농성을 감행한 활동가들이 8월 31일 농성을 해제했다. 농성 시작 41일만에 귀환한 활동가 3인은 ‘귀가 없는 정부, 삽질만 난무하는 정권에 미래는 없다’며 다시한번 정부에 4대강 사업 백지화를 촉구했다.

환경련 활동가 3인, 7월 22일 이포댐 교각에 올라

염형철 서울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박평수 고양환경운동연합 집행위원장, 장동빈 수원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 등 3인은 지난 7월 22일 새벽 3시쯤 경기 여주군 남한강 이포보 교각에 올랐다.

[출처: 미디어충청]

20여m가 넘는 높이로 사실상 ‘댐’이라 불러도 무방한 이포보 교각에 오른 3인은 곧장 ‘이포댐 고공농성’에 돌입했다. 고공농성장 주변에는 ‘상황실’도 설치됐다. 상황실은 박창재 상황실장 외 서울환경운동연합, 경기환경운동연합,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실무자 등 10여명이 상주하며 고공농성 지원을 도왔다.

41일간 계속된 고공농성에는 방문자가 끊이지 않았다. 정치권과 노동계, 문화계, 시민사회 인사 등 7천여명이 다녀갔다. TV와 신문, 인터넷 매체 등 각종 언론의 취재.보도도 이어졌다.

고공농성 현장 모금과 온라인 모금 등으로 지금까지 6000만원이 넘는 후원금을 모으는 등 이포보 고공농성은 4대강 사업 폐해를 각계에 알리고 여론을 환기시키는 주요한 거점이 됐다.

유난히 무더운 계절과 지상과 고립된 고공농성 특성상 농성 활동가들의 고충은 상상 이상이었다. 공사 업체측은 물과 음식물 반입을 최소한만 허용했다. 경찰은 인근 교각에 텐트를 설치하고 밤과 새벽에 메가폰 사이렌을 울려대며 농성 활동가들이 잠을 자지 못하도록 방해했다.

농성 지원을 위해 설치된 상황실도 수난을 겪었다. 4대강 사업 찬성 주민들과 단체는 상황실에 난입해 집기를 부수고 폭력을 행사하는 등 난동을 부렸다. 공사 업체가 제기한 퇴거명령 및 공사방해금지 가처분신청이 법원에서 받아져 8월 20일부터는 매일 900만원의 벌금도 부과됐다.

활동가 3인, “떠나지만 다시 돌아올 것을 약속”

8월 31일 오후 5시 25분경 이포보 교각에서 내려온 고공농성 활동가 3인은 그동안 고민과 앞으로 각오를 담아 입장을 발표했다.

발표문에서 고공농성 활동가들은 “정부가 ‘보’라고 주장하는 거대시설에 올라 그들의 언어가 얼마나 비상식적인지 드러냈고 찢기고 발린 남한강의 아픔을 전하며 4대강 사업이 자연의 안녕과 국민의 행복을 파괴하는 사업임을 밝혔다”고 말했다.

결과에 대한 아쉬움도 토로했다. 고공농성 활동가들은 “정부로부터 4대강 사업 재검토 약속을 받지 못했고 국회로부터 4대강 사업 검증과 합의를 위한 기구구성 계획을 듣지도 못했다”며 “하지만 이는 우리의 실패가 아니라 국민을 외면하는 저들의 무능과 무책임의 결과”라고 밝혔다.

특히 우리의 간절한 탄원을 거부했던 댓가는 국민의 엄혹한 심판과 자연의 역습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부담과 고마움도 표시했다. 농성 활동가들 건강과 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4대강 사업’이 아닌 농성자들 생활에 관심이 모아진 것은 부담이었다고 밝혔다. 이포보 곁에서 풍찬노숙하며 지원했던 동료들, 뜻을 함께한 단체들, 방문자들, 촛불들, 걱정해 주셨던 국민들에게는 따뜻한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고 전했다.

고농농성 활동가 3인은 “지금 떠나지만 다시 돌아올 것을 약속한다”며 “국민들께서도 새로운 공간과 활동에서 함께 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고공농성 해제날 ‘4대강 공사중단을 위한 국민행동 대표자 협의회’도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에서 협의회는 “9월부터 모든 역량을 집중해 민심을 외면한 이명박 정부와 4대강을 외면하고 있는 정치권에게 민심을 정확히 전달하고자 한다”며 9월 11일 10만 촛불의 국민대회 조직화 달성을 결의했다.
태그

이포보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윤평호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
논설
사진
영상
카툰
판화
기획연재 전체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