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유나(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에 대해 총 "14"건이 검색되었습니다.현재 1/2 페이지
|
노동조합의 주도하에 에너지 공공성을 지켜나가야
[기후변화와 노동자](9) 에너지 노동조합의 과제
지속가능한 에너지 정책을 말로만이 아니라 실질적인 것으로 구체화하고, 에너지 공공성의 내용 안에 지속가능성을 담아내야 한다. 에너지 산업의 시장화 반대, 이의 대안으로서의 안정적 공급이라는 주장을 넘어... [송유나(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2010.06.17
|
에너지기술평가원의 파행
에너지산업의 공공성.지속가능성에 대한 심각한 도전
더욱이 국민의 혈세 5000억 원은 어찌할 것인가. 2006년 에너지자원 R&D 규모는 4000억 원대에 이르며 현재 5000억 원에 육박한다. 이 거대한 재원, 즉 국민의 혈세를 민간재단으로 ... [송유나(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2007.05.03
|
북에 에너지를 어떻게 보낼까
북핵 문제와 대북에너지 지원
한국과 같은 에너지 종속국에서 원자력 발전이 기여한 역할 - 노동의 역할과 에너지 산업의 객관적 구조에서의 어쩔 수 없는 위치 - 에 대해 환경 시민사회운동 진영이 충분히 이해하고, 이러한 소통에 기반하여 장기적인 차원의 ... [송유나(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2007.03.28
|
전기를 상품처럼 팔고 살겠다니!
잘못된 전력산업 구조개편이 근본 원인
노동조합의 저항이 거세였음에도 불구하고 2001년 4월 2일 한전의 발전 분야는 5개 화력발전과 1개 원자력 발전으로 분사되었다. 오로지 매각만을 위해 단행하였던 발전소 분할은 현재 엄청난 비효율과 문제점만을 양산... [송유나(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2006.09.03
|
한국만 세계 에너지 위기 정세와 무관?
에너지 전쟁과 한미FTA
한국사회가 공기업 사유화를 오히려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반해 세계대부분의 나라는 에너지 기업의 재국유화 혹은 국가차원의 관리 전략이 지배적이다.
[송유나(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2006.06.08
|
한국만 세계 에너지 위기 정세와 무관?
[기고] 에너지 전쟁과 한미FTA
한국사회가 공기업 사유화를 오히려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반해 세계대부분의 나라는 에너지 기업의 재국유화 혹은 국가차원의 관리 전략이 지배적이다. [송유나(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2006.06.08
|
자발적 상납에 혈안이 된 공공서비스 시장화
[한미FTA저지특별기획](23) - 한미FTA와 공공서비스
특히 에너지와 물과 같은 공공서비스의 경우 환경적 측면, 지역적 연계와 공공적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강제되었던 여타의 법적 조치는 이행의무부과 금지 조항에 의해 한 순간에 사라지고 말 것이다. ... [송유나(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2006.05.30
|
자발적 상납에 혈안이 된 공공서비스 시장화
[한미FTA저지특별기획](23) - 한미FTA와 공공서비스
에너지 산업 관련하여 남은 것은 자발적 상납을 위해 불필요하게 존재하는 국내법을 정비하고 경쟁과 시장을 촉진하기 위한 제반의 국내적 조치를 매우 “조용히” 추진해주는 일 뿐이다. [송유나(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2006.05.30
|
분할 매각 우회하는 직격탄! 가스 직도입에 주목하라
[한미FTA저지특별기획](21) - 한미FTA와 가스
FTA를 추진하는 현 정부의 작태는 에너지 문제만으로 국한해 보더라도 실로 망연자실을 금할 수 없다. 안정적인 공급권과 에너지 수급 체계를 관리할 그 어떠한 방도도 없이 에너지 산업을 팔아치우고 시... [송유나(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2006.05.16
|
봄비를 보면서도 낭만에 젖을 수 없는 현실
인권으로서의 물과 FTA
물을 먹을 수 있는 기본적인 권리인 인권은 물이 상품이 되는 순간, 인권이 아닌 소비의 능력이 되고 만다. FTA가 모든 것을 상품으로 전화하면서 공략하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는 흘러내리는 빗물을 안타깝게 바라볼 수밖에 없다. ... [송유나(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2006.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