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100주년, "역사를 바로잡자"
바얀당(BAYAN) 7/7
필리핀 독립 100주년이 되는 올 7월 4일, "비(比)-미(美)우정의 날"에 즈음하
여 신애국동맹(BAYAN)은 필리핀-미국 전쟁의 시기에 필리핀 민중과 민족에게 범
해진 역사적 왜곡을 정정하고 바로잡기 위해 필리핀과 미국, 양국에서 캠페인을
시작했다. 비(比)-미(美) 전쟁은 배반으로 시작된 '비열한' 전쟁이었으며 미국
은 1899년부터 1902년까지 신생 필리핀 공화국의 이익을 갈취하고, 객관적으로
미국의 정복전쟁이었던 충돌에 있어서 잔학한 집단 학살행위를 저질렀다.
이 시기는 필리핀 민중이 미정부로부터, 아시아 최초의 필리핀 공화국과 후손
들에게 저지른 미국의 침략과 헤아릴 수 없는 학살에 대해 공식적 보상행위 및
사과를 받아낼 최적의 시기이다.
아곤실로(Agoncillo)와 콘스탄티노(Constantino)와 같은 필리핀 사학자들은
대부분이 민간인이었던 삼십만명 이상의 필린인들이 미국의 공격으로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쟁시기 미국은 필리핀 민중에게 초토화 작전과 잔혹한
민간인 '소개(疏開)' 뿐만 아니라 '물고문(water cure)'과 같은 가장 야만적인
형태의 고문과 심문을 가했다. 미국개척 당시 아메리칸 인디언에게 실험되었던
가장 잔인하고 야만적인 전술이 미국의 인디안 전쟁 퇴역군인에 의해 다시 응용
되고 행해졌던 것이다. 더욱 심한 것은 이러한 모든 것들이 미국의 공식문서와
역사책에 '필리핀 폭동'으로 다뤄져 필리핀 민중의 영웅적 저항의 본질을 왜곡
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필리핀 폭동'이라는 표현은 명백히 미국의 정복전쟁,
침입, 그리고 강제적 침략을 필리핀에서 이미 수립된 미국 체제에 대항하는 하
나의 반란으로 다룬다는 것을 암시한다. 신애국동맹은 미정부로부터 공식적인
공개사과를 받기 위해 이 캠페인을 시작했으며 과거를 바로잡기 위한 이 캠페인
에 에스트라다 정부가 지원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아시아 국가들이 2차 세계대
전 당시의 잔학행위에 대해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공개사과를 시도하고 있는 지
금, 필리핀 역시 비(比)-미(美)전쟁이 진정한 '독립과 자유의 전쟁'이었다는 역
사바로잡기를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역사는 최소한, 진실 그대로 평가해야만
하며 그 진실은 '우리를 자유롭게 할 것'이다.
신애국동맹은 에스트라다 정부가 미국에 대한 독립적인 외교정책의 수행에 있
어서 특히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1) 비(比)-미(美) 전쟁 당시 저지른 필리핀 독립의 강탈, 잔학행위 그리고 대량
학살에 대해 미정부로부터 공식적 공개사과를 요청할 것.
2) 미국의 공식문서, 역사기록, 그리고 역사책에 1899년에서 1902년까지의 필리
핀과 미국의 전쟁을 '필리핀 폭동'으로 표현한 용어를 두 개의 주권국가간에
벌어진 '비(比)-미(美) 전쟁'이라는 표현으로 바꿀 것을 미정부에 공식적으
로 요청할 것.
3) 필리핀 정부는, 1900년대 초반 문틴루파(Muntinlupa)에서 미국식민법정에 의
해 일반범죄와 중죄인으로 교수형당하고 박해당한 사람들 중, 마카리오 사카
이(Macario Sakay), 벤니토 네티비다드(Bentito Natividad), 프란시스코 카
레온(Francisco Carreon), 줄리안 몬탈란(Julian Montalan), 루시오 드 베가
(Lucio de Vega), 레온 빌라푸에르테(Leon Villafuerte), 아니세토 아루가
(Aniceto Aruga), 코넬리아 펠리자르도(Cornelia Felizardo), 아세디요
(Asedillo)와 같은 사람들의 과거 기록을 무죄로 공식 정정하고 필리핀 독립
투사라는 정당함을 입증시켜야 한다.
4) 에스트라다 정부는 태프트(Taft : 역주-미국의 27대 대통령) 거리'처럼 필리
핀 이적행위자와 기회주의적 엘리트의 이름을 붙인 식민지 거리명을, 오랫동
안 공식역사에 의해 부정되어 왔던 사카이와 같은 필리핀 자유투사들의 이름
으로 개명해야한다.
5) 에스트라다 정부는 이전 라모스 정부의 주둔군협정(Visiting Forces
Agreement : VFA)을 재고하여 거부하고 그가 '훌륭한 12명'의 상원의원들과
함께 했던 주권지향적 입장을 견지해야한다.
에스트라다의 새정부 하에서 주둔군협정 제안이 비준될 것이라 낙관하고 있다
는 토마스 허바드(Thomas Hubbard) 필리핀 주재 미대사의 최근 언사는 상호 존
경과 호혜에 기반해 모든 국가와 더욱 동등한 관계를 형성하려는 오늘날의 필리
핀 민족주의의 깊이와 넓이를 오판한 말이다.
미대사 허바드는 그의 전임자와는 달리 에스트라다가 대통령으로 선출된 것은
미국의 지원이 아니라, 미국이 설계하고 IMF가 꾸린 정책에 의해 빈곤해지고 있
는 필리핀 민중 다수에게 빚을 지고 있다는 것을 상기해야만 한다. 에스트라다
대통령이 상원의원과 공화국부통령으로 재직할 당시의 발표내용과 행적을 볼
때, 그는 상호존중, 호혜적 관계, 필리핀 국가이익의 증진이라는 원칙에 기반하
여 미국 및 다른 국가들과의 우호적인 유대를 지향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것은 1991년에 에스트라다가 미군주둔을 종결시키는데에 표를 던진 이유를 명확
히 설명해주고 있다.
주둔군협정은 이들 원칙들(상호존중, 호헤관계, 필리핀 국가이익 증진)에 일
관적이지 않다. 주둔군협정을 통해 1)미국은 필리핀헌법 자체를 위반하며 공식
적인 반대선언과 같은 간섭도 없이 핵무기를 필리핀 영토로 가져 올 수 있다 2)
미국은 평범한 필리핀 시민들, 특히 여성, 어린이를 괴롭히는 범죄를 저지른다
할지라도 공식적으로 필리핀 법원과 법률로부터 면책된다. 3) 주둔군협정을 통
하여 미군들은 미국의 필리핀군(軍) 시찰의 횟수에 관한 어떠한 상호동의 없이,
필리핀 입국과 거주에 있어서 비자의 요구조건, 항구와 관세통제, 허가와 인가
를 성립시키는 수수료에 관한 특권과 예외를 부여받았다.
더욱이 주둔군협정은 진실된 우방관계에 일관적이지 않을뿐더러, 동맹국을 존
경하는 것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에스트라다 정부는 미국의 간섭주의 정책을 지원하지 않는, 더욱 위엄있는 대
외정책을 가져야 한다. 필리핀 대중은 에스트라다정부가 (역자주-역대정부와는)
차이점을 만들 수 있도록 압도적으로 표를 던졌다.
또한 에스트라다정부가 "국가권력, 영토보전, 국가이익 그리고 자기결정권"이
라는 제헌적 정책을 진실로 반영하는 독립적인 대외정책을 받아안아야 한다. 마
지막으로 에스트라다 정부가 국내적으로 뿐만 아니라, 아세안(ASEAN)지역을 핵
무기로부터 자유롭게 한다라는 헌장의 정책을 효과적이고 강력하게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