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임을 위한 행진곡’ 광주에서도 못 불러

5.18 30주년 기념식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외...광주지역 반발

국가보훈처가 5.18광주민중항쟁 30주년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외시킨 것으로 알려져 광주지역사회가 반발하고 있다.

국가보훈처는 지난해까지 기념식에서 공식 추모곡으로 불렀던 ‘임을 위한 행진곡’을 기념식에서는 빼고 식전행사에 배치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와 민주노동당 등은 성명을 발표하고 5.18을 폄하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며 우려하고 있다. 특히 국가보훈처가 지난해 ‘임을 위한 행진곡’을 대체할 ‘5.18 기념 노래’ 제정을 추진하다 지역 여론의 거센 반발로 백지화했던 적이 있어 현 정부의 의도에 의혹과 비판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광주전남진보연대와 광주민예총은 12일 성명을 내고 “5.18 기념에 대한 정부의 진정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세계적인 민주화 투쟁의 상징으로 인정받고 있는 5.18의 가치와 정신을 부정하지 않는다면 배제 방침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5월 정신이 깃든 ‘임을 위한 행진곡’은 5.18의 노래로, 더 나아가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민중의 애국가로 애창됐다”며 “이런 노래를 본 행사에서 제외한다는 보훈처의 의도가 무엇인지 그 어떤 이유로도 납득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보훈처의 방침은 단순한 행정상의 문제가 아닌 5.18의 가치를 축소하고 훼손하고자 하는 정부차원의 반(反) 5.18 정책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며 “보훈처가 이를 철회하지 않을 시 강력한 반발에 직면할 것임을 천명한다”고 밝혔다.

민주노동당 광주시당도 같은 날 낸 성명을 통해 “국가보훈처가 5.18 공식 추모곡이나 다름 없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30주년 기념식에서 제외시킨 것은 5.18의 혼을 박제화 시키려는 정치적 의도에서 비롯됐다”며 “이는 피로 일군 민주주의 역사에 대한 훼손”이라고 비판했다.

장원섭 민주노동당 광주시장 후보는 “국가보훈처의 ‘5월의 노래’ 제정 추진, 공무원노조 민중의례 금지, 공무원노조 성지순례 엄단 등 이명박 정부는 5.18 정신을 훼손하려는 시도를 거듭하고 있다”며 “5.18 정신의 전국화와 세계화를 위해서라도 ‘임을 위한 행진곡’은 더욱 국민들에게 애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장 후보는 “민중의 애국가인 ‘을 위한 행진곡’을 공식 추모곡으로 배치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다면 5.18 30주년 기념식은 민주시민들의 거센 저항을 받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국가보훈처를 통해 ‘임을 위한 행진곡’을 대체하기 위해 ‘5월의 노래’를 공모했다 여론의 반발로 취소했다. 또 공무원 노조가 ‘임을 위한 행진곡’이 포함된 민중의례를 거행하는 것을 문제삼아 각 지방자치단체에 금지공문을 내려 말썽이 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공무원 노조의 5.18 성지순례를 엄단하겠다는 지침을 내렸다.
태그

광주 , 광주 , 518 , 518 , 광주민중항쟁 , 광주민중항쟁 , 임을위한행진곡 , 임을위한행진곡 , 광주전남진보연대 , 광주민예총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홍석만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
  • rotoRlemfdk

    골고루 아주 막장을 기네..
    이 골통 극우들이...
    콱~~~

  • ???

    아`````````````참...? 오`````` 통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