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공무원노조가 입수 공개한 행안부 현장대응반 구성 운영계획 |
여기에 맞서 공무원노조는 시군구별로 차출된 공무원을 파악해 이들과 면담을 하고 “같은 동료에 대한 명백한 불법사찰임을 주지시키겠다”고 밝혔다. 또 불법채증을 강행할 때는 공무원노조도 역채증을 통해 이들의 명단과 사진을 공개하고 법적 조치한다는 방침이다.
조창형 공무원노조 대변인은 “민주화 성지 광주에 350명이나 내려와 같은 동료 공무원을 불법채증 한다는 것은 일제시대 일본인 경찰보다 더 악랄했던 한국 순사들 같은 행위”라며 “경찰과 함께 일반 직원이 우리 사진을 확보해 공무원 노조를 탄압하는 행안부의 대응작전은 ‘화려한 탄압’”이라고 비꼬았다.
공무원노조는 지난 2002년부터 매년 5월 18일 즈음 광주 민주화 운동 망월동 묘역 성지순례를 해왔다. 조창형 대변인은 “30년전 민주주의를 사수하려던 열사들을 기리려는 공무원노조의 마음을 불법행위라고 몰고 무차별 탄압하는 것은 마치 80년대 독재시설을 보는 것 같다”고 비난했다.
5.18 민중항쟁 30주년 기념행사위원회도 정부의 이런 태도를 강하게 비난했다. 30주년 기념행사위원회는 성명을 통해 "범 국민적 추모와 기념을 위한 분위기 조성과 지원을 해야하는 행안부가 행사참여를 가로막는 등 오히려 찬물을 끼얹고 있다"며 "행안부의 복무관리 지침은 국민의 일원인 공무원들의 행사참여 봉쇄뿐 아니라 국민적 추모분위기와 참여열기를 떨어뜨리는데 일조하는 것"이라고 규탄했다.
공무원·교사탄압저지 공동대책위원회도 13일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공무원노조 간부에 대한 개인사찰을 통해 성지순례를 막는다는 발상은 국가적 행사조차 정권의 이해관계에 종속시키고 성지 광주를 욕보이는 몰상식한 행태”라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