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속에 드러나는 혐오의 면면

[레인보우]


혐오는 방역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지난 5월 7일, 국민일보는 ‘단독’이라는 머리말을 달고〈이태원 게이클럽에 코로나19 확진자 다녀갔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밀집도가 높은 클럽에 확진자가 다녀갔다는 것은 이미지자체를 포함한 방역당국이 파악한 사실이었다. 해당 클럽 또한 자체적으로 공지를 낸 후였다. ‘단독’이라는 단어는 온전히 ‘게이클럽’이라는 장소에 초점을 맞춘 것이었다. 독자들의 항의를 받은 뒤에 ‘이태원 유명클럽’이라는 기사로 수정됐지만, 이미 뒤늦은 일이었다. 크고 작은 여러 언론사가 그 기사를 받아썼고, 게이들이 이용하는 다른 업소에 대한 가십성 보도도 이어지고 있었다.

밀폐된 공간에 많은 사람들이 모이면 전염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과, 그곳을 이용하는 이들이 어떤 정체성을 가졌는지는 무관하다. 애초에 정체성 하나로 싸잡아 묶을 만큼 내적으로 동질적이지도, 외적으로 이질적인 집단도 아니다. 이미 사회적으로 낙인찍혀 있는 집단을 또 한번 비난하는 것은, 검사를 독려하는 데에도 혹은 전 사회적 협조를 요청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는 애써 외면하지 않는 한, 기자로서 모를 수 없는 분명한 사실들이다.

다행히도, 또한 당연하게도, 방역당국은 불필요한 확진자 개인 신상 공표는 자제돼야 한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분명히 했다. 지자체, 인권운동단체 등과의 논의를 거쳐 (현장에서는 여전히 혼선과 차별이 없지 않았지만) 확진자 및 잠재적 접촉자와 동선이 겹친 이들이 방문 업소명을 밝히지 않고도 선별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했다. 아울러 익명검사도 실시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특정 커뮤니티에 대한 비난은 방역의 관점에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분명히 말했다. 감염의학 전문가들이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힘을 보탰고 인권운동단체들은 코로나19성소수자긴급대책본부를 결성해 성소수자들이 낙인이나 불안 없이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을 시작했다.

재난 속에 드러나는 혐오의 면면

이런 식의 낙인찍기나 혐오발언은 그 자체로 새로울 것이 없다. 하지만 그것이 전염병을 배경으로 할 때는 특정한 면모들이 새롭게 드러나곤 한다. 최근 몇 년간 거세게 팽창한 혐오발언에는 대개 (특정 생활양식, 혹은 특정 질병에 대한 혐오와 더불어) 사회와 개개인의 건강과 안녕을 위한 것이라는 변명이 덧붙여졌다. 모두의 안전을 위협할 것임이 분명한 시점에도 이런 혐오발언들이 이어졌고, 이 혐오와 비난의 실체는 여과 없이 드러났다.

한편, 이 재난은 소수자 혐오를 묵인해 온 국가권력이 성소수자들의 현재 사회적 여건을 인정하도록 만들었다. 뜻하지 않게 정체성이 노출된 성소수자들은 감염병에 걸리는 것 보다 더 두려운 여건에 내몰리게 된다는 사실이었다. 결국 비난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적극적인 발언을 끌어낸 셈이었다. 또한 이보다 앞선 4월 말 정세균 총리는 신분노출의 위험으로 방역 사각지대에 놓인 ‘미등록 외국인’을 언급하기도 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재난지원금은 물론 마스크 공급도 고려하지 않았으며) 그간 줄곧 ‘불법체류자’와 같은 용어를 고수해 온 정부가 국제 인권 담론에서 통용되는 미등록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커다란 전환이었다.

하지만 정부의 선회를 마냥 반가워할 수만은 없다. 푸코는 근대 이후의 권력, 즉 어떤 이들을 얼마만큼 살게 만들고 죽게 내버려 둘지 결정하는 ‘생명권력’을 말했다. 이에 더해 아감벤은 정치적 삶에서 추방된 자, 소위 벌거벗은 생명을 설정하고 이를 사회의 (순전한 외부가 아니라) 경계로 삼는 것이 실은 고래(故來)에서 이어진 정치 원리라고 설명했다. 아무런 정당성 없이 퍼져온 혐오를 그것이 어떤 위협인지를 잘 알고 있는 권력이 방조해 왔다는 것은 이 같은 통찰이 얼마나 적실한지를―혐오가 단순히 어떤 집단의 사소한 감정적 반응이 아니라 이 사회를 구성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이용되는 수단임을―여실히 드러낸다.

혐오는 그 무엇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재난 상황에서의 뒤늦은 깨달음이라거나, ‘방역의 관점’에 국한되는 이야기라고 한다면 그저 낯 뜨거울 뿐이다. 부당한 일이나 범죄 피해, 부상이나 질병에 걸렸을 때 일상에서 동성애자임이 알려질까 봐 그저 견뎌야 했던 이들의 이야기를 이미 수없이 알고 있다. 강제추방에 내몰리는 미등록 이주민이나, 주민등록증과는 다른 모습의 트랜스젠더, 인격을 인정받지 못하는 장애인, 오히려 자신이 비난받을 것임을 알고 있는 성폭력 피해자의 이야기 역시 마찬가지다.

전방위적으로 가해질 혐오와 비난, 그에 따른 실직이나 배척을 피하기 위해 이들이 감내해야 할 가해와 불의를 생각한다면 ‘혐오는 방역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말에서 멈출 수 없는 일이다. 혐오는 특정 집단을 침묵시킴으로써 바이러스의 전파만 용이하게 하는 것이 아니다. 사회적 침묵 속에서 이들의 일상이 붕괴되는 것은 비일비재했다. 공권력에도, 심지어 서로에게도 기대지 못하는 상황은 결국 사회적 신뢰의 붕괴로 이어진다. 이는 오래전부터 줄곧 강조해온 이야기들이다. 혐오는 방역뿐 아니라 그 무엇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재난 상황에서도 잊어서는 안 될 말이다. 그리고 ‘코로나 이후’를 논하고 살아갈 때 언제나 다시금 꺼내서 말해야 할 이야기이기도 하다.
태그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박종주(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 SHARE)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