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첩단 수사 사건' 여론전으로 흘러가고 있다

미디어인권연구소 뭉클, 2023년 간첩단 사건 관련 언론 보도 분석

“간첩단 수사 사건이 아니라, ‘언론의 간첩단 수사 중계 사건’이라고 말해도 좋을 만큼 여론전으로 흘러가고 있다.”

“방첩당국에서 흘린 정보를 그대로 받아서 누가 더 빨리 받았느냐를 자랑하는 식의 단독 보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국정원의 대대적인 간첩단 수사와 이례적인 언론 보도 행태를 비판하는 분석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김의겸 의원(국회 법제사법위원회·정보위원회) 등이 2월 1일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공동주최한 <국정원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대공수사권과 신원조사 문제를 중심으로> 토론회에 참석한 뭉클 미디어연구소 김언경 소장은 최근 국정원의 간첩단 수사 보도를 지적하며 국정원이 제공한 소스를 필터링 없이 기사화한 보도 행태를 꼬집었다. 그는 “‘국정원에게 대공수사권을 돌려줘야 한다’는 메시지가 분명하게 보인다. 언론은 이런 속내를 숨기지 않고, ‘문재인 정부가 간첩 수사를 방기해서 간첩이 늘어났고 이번 사건을 국정원이 잡아 냈으므로 국정원에 대공수사권을 돌려줘야 한다’라는 논지의 보도를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토론회에서 발표하는 미디어인권연구소 뭉클 김언경 소장

‘2023년 간첩단 사건 관련 언론보도 분석’을 발표한 김언경 소장은 2023.1.9.~29간 관련 기사를 분석한 결과, 보도량도 상당히 많았을 뿐만 아니라, 보도 유형에서 사설이 이례적으로 많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김언경 소장은 제목만 살펴보더라도 소수의 사설을 제외하면 “제멋대로 그야말로 국정원이 준 정보를 가지고 분기탱천하는 제목의 사설들을 볼 수 있다”라며 비판했다.

  2023년 1월 간첩단 사건 관련 사설(2023.1.9.~29), 빅카인즈 기준(출처: 김언경 소장 토론 발표문)

김언경 소장은 사안에 걸맞지 않게 간첩단 수사를 단독 보도한 건이 대단히 많다는 점도 지적했다. 김언경 소장은 “방첩당국(국정원)에서 츨린 정보를 그대로 받아서 누가 더 빨리 받았느냐를 자랑하는 식의 단독 보도들이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2023년 1월 간첩단 사건 관련 보도 중 단독 보도(2023.1.9.~29), 빅카인즈 기준(출처: 김언경 소장 토론 발표문)

이어 김언경 소장은 △전형적인 ‘수사기관발’ 일방적 보도 통한 여론전 △‘민주노총 활동은 간첩의 지령’ 낙인으로 에스컬레이팅 △민주노총 압수수색의 의미와 문제점 짚은 내용은 부재 △‘자극적인 간첩 드라마’처럼 하루에 하나씩 새로운 내용을 공개하는 네 가지 행태를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이를 테면, 문화일보는 <‘북한 지령’ 간첩단, 창원에 중앙거점…방산 업체 대거 해킹 정황 드러 나>(20230110) 제목으로 경남 창원에 중앙거점인 ‘자주통일 민중전위’(약칭 ‘자통’)에 대해서 매우 심각한 수준의 상황이 벌어졌다고 묘사했는데, 정작 기사 내용을 살펴보면 뒷받침할 근거가 부족하다. 기사가 제시한 근거는 “방첩 당국은 특히 중앙거점인 ‘자통’이 수도권이 아닌 방산 업체가 밀집한 창원에 세워진 점에 주목하고 있다. 창원이 한화디펜스, LIG넥스원, 현대로템 등 주요 방산 업체와 국방과학 연구소(ADD) 제5기술연구본부, 육군종합정비창 등이 모여 있는 방산 도시인 만큼 기밀 탐지 및 유사시 전복 활동 등을 고려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것이다”라는 문장뿐이었다. 결국 방첩 당국의 의심을 받아쓰기한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닌 보도가 쏟아졌다는 것이다.

김언경 소장은 언론들이 국정원의 대공수사권 이양을 걱정하였다면 3년 이라는 충분한 시간이 있었기 때문에 여기에 대해 심도 깊은 기사를 그 사이에 충분히 찾을 수 있어야 하지만, 단 한 건 정도만 깊이 있게 다룬 기사를 찾을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덧붙였다.
태그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변정필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