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사유화 저지 공동행동' 만들어진다

참가 단체 확대해 오는 17일 발족 예정

이명박 정부의 사유화를 저지하기 위한 ‘(가칭)공공부문 사유화 저지 공동행동’이 발족된다.

지난 4월 24일 ‘이명박정권의 공공부문 사유화 대응을 위한 토론회’를 공동 개최했던 단체들은 지난 4일 모임을 갖고 이명박 정부의 공공부문 사유화.시장화 저지를 위한 연대와 공동실천의 최소 형식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같이 했다.

공무원노조, 노동자의힘, 노동전선, 다함께, 미디어공동행동, 문화연대, 물사유화저지공동행동, 범국민교육연대, 진보전략회의, 철폐연대 등 단체들이 ‘(가칭)공공부문 사유화저지 공동행동’ 구성에 공감하고 제안단체로 나서기로 결정했다.

이들은 목적으로는 “공공부문 사유화.시장화.구조조정 저지와 사회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동실천”으로, 성격으로는 “단체들의 공동실천 네트워크”로 간명하게 정리했다.

또한 뜻을 같이 하는 노동단체, 정치단체, 사회운동단체, 노동조합, 지역대책위(네트워크) 등 제 단체를 확대해서 구성하고, 대표자회의와 집행위원회를 두어 사업의 기동성을 갖추기로 했다.

공동실천으로는 △이명박 정부의 공공부문 사유화.시장화.구조조정 정책 분석과 정책자료 생산 △공공부문 사유화.시장화.구조조정 대안 마련 △교육, 선전홍보 △기자회견, 항의집회, 성명전 등 공동행동 △대중행동 조직 △부문별, 지역별 소통을 통한 공동실천의 확대강화 등을 꼽았다.

이들은 당면사업으로 오는 17일 대표자회의와 발족 기자회견을 갖고, 이어 ‘공공부문 사유화현황과 대응방향’을 주제로 전국토론회를 갖는다. 이날 토론회에는 지역별 네트워크 주체들도 참석, 지정토론을 할 예정이다.

이들은 대부분 2년 전 한미FTA 협상 당시 저지와 대안 실천에 힘을 쏟아온 단체들로, 이명박 정부의 공공성 파괴와 사유화 추진에 즈음해 발족과 공동행동이 이루어진다면 반자본 연대운동의 발전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질 전망이다.

한편 정부는 공공부문 구조개편 방안을 5월 말에 발표하고 6월 중순쯤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서 심의 의결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최근 이명박 정부의 정책에 반대하는 촛불시위의 영향으로 발표 시기를 6월 말로 연기했다. 한나라당이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공기업 민영화 발표 시기를 늦춰 달라고 요청함에 따라 7월 이후로 미뤄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태그

민영화 , 공공부문 , 공동행동 , 사유화 , 이명박 , 공공부문사유화저지공동행동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유영주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