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날 이정희 대표의 발표를 종합하면 당시 진보당 당원들은 한반도 주변상황이 전쟁위기로 치닫고 있다고 판단했으며, 실제 전쟁이 발발하면 6.25 때처럼 진보인사들이 먼저 예비검속으로 살해당할 거란 공포가 있었다고 전했다. 또한 일부 강연 참가자들이 농담처럼 전쟁이 발생하면 총이라도 구하고 통신시설이라도 교란해야 하는 것처럼 얘기했지만, 모두 허무맹랑하다고 웃었다고 전했다.
이 대표는 특히 진보당 당원들이 예비검속을 두려워하고 전쟁위기 상황에 민감한 이유도 국민에게 설명하며, 당과 당원들의 모든 활동이 국민에게 더 가까이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정희 대표는 기자회견문에서 “재판 과정에서는 국정원 녹취록의 근거가 되었다는 동영상 촬영 과정에서 영장주의를 무너뜨린 불법성 문제가 크게 다투어질 것”이라며 “이 사건의 핵심 증거인 동영상과 녹취록에 대해, 법정에서는 그 내용 자체를 아예 볼 수 없는 상황도 벌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국정원이 위법수집증거를 공개한 것은, 사법부의 판단 영역을 완전히 침범했을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사법절차에서 사건 관계자들에게 보장되어야 할 방어권을 실질적으로 침해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 |
5월 12일 토론 과정에서 내란모의를 했는지를 두고 이 대표는 “녹취되지 않은 나머지 분반 대화의 내용은, 전쟁이 정말 일어나면 생명조차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 살아남기 위한 대처방법 모색, 국민 속에서 전쟁반대 평화실현을 더 넓혀야겠다는 의논이 이루어졌을 뿐, 총기를 탈취하거나 중요시설을 파괴하자는 취지의 발언은 없었다”고 전했다.
이 대표는 유독 진보당이 이런 전쟁발발 우려와 예비검속의 공포를 나눈 데 대한 설명도 이어갔다.
이 대표는 “이 심각한 우려의 배경에는 한국전쟁 전후 예비검속과 보도연맹사건으로 진보적 활동을 했던 사람 20만 명이 살해된 역사적 사실이 있다”며 “2012년 대선을 앞두고 진보당에 가해진 종북 색깔론 공격과 백색테러 위협의 현실은, 진보당 당원들에게 전쟁의 상흔을 쉽게 잊을 수 없도록 했다”고 토로했다.
이 대표는 문제가 된 총기 구입 등의 발언을 두고는 “몇 개 조에서 그러면 총이라도 구해야 하는 거냐 등의 말이 나왔는데, 그 때마다 웃음이 이어졌다고 한다”며 “그런 일은 가능하지도 않다는 공통의 인식이 있었기에 웃어버리고 만 것”이라고 내란 모의 가능성을 일축했다.
전체 토론에서 발표자들이 분반토론 내용을 전하면서 전체 맥락 없이 총기 등의 단어만 나열하다 보니 총기를 구하자는 등으로 의견이 모인 것처럼 전달됐다는 설명이다.
이 대표는 “분반에 따라서는 아예 언급조차 하지 않은 총 등의 용어를 분반별 발표 시간에 대표발표자가 임의로 사용한 곳도 있다고 한다”고 밝혔다.
특히 실제 녹취록에 나온 분반에서의 총기 관련 발언에 대해선 “녹취록에는 분반토론 발표자가 ‘총은 부산에 가면 있다’고 발표하면서 총을 만들자고 말한 것으로 나오는데, 실제로 분반토론 때 이 말을 한 사람은 농담으로 한 말인데 발표자가 마치 진담인 것처럼 발표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 대표는 무엇보다 “국민 여러분은 왜 이 사람들이 전쟁이 정말 일어날 수도 있다고 보았고 대피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생각했는지, 이해하기 어려우실 수도 있다”며 “견해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상당수 국민이 ‘설마 전쟁이 나겠느냐’고 하면서도 사재기를 할 정도로 전쟁위기는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수준까지 단숨에 치달았던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정당은 늘 매우 무거운 책임을 요구받고, 주요 직책을 맡은 사람은 더 그러하다”며 “안으로는 당과 당원들의 모든 활동이 국민 여러분께 더 가까이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끊임없이 돌아보고 바꿔가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의 발표를 두고 박훈 변호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난 그분들이 이정희 대표의 회견문처럼 고조되는 전쟁위기에 대한 인간 본연의 생존본능 차원에서 지나가는 ‘농담’을 했을 것이라 처음부터 굳은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며 “날조라고 하지 말고 진작에 이리 설명했어야했다. 조금 민망스럽기는 하지만 아무것도 아닌 일이었다고”라고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