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 노동과 세계 변백선 기자] |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은 7일부터 일주일간을 ‘산업안전 보건 강조주간’으로 설정하고 여러 행사를 개최키로 했다. 7일에는 삼성동 코엑스에서 ‘제47회 산업안전보건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고 안전보건활동 우수기업들의 ‘우수사례 발표대회’ 등을 진행했다.
이 날 기념식에 참여한 신승철 민주노총 위원장은 참가자들에게 “250만 특수고용노동의 산재가 드러나지 않고, 80% 이상의 산재가 은폐되는 현실에서 재해율 감소는 무의미한 숫자에 불과하다”고 강하게 비판하며, 정부에 안전보건분야 규제완화 원상회복과 법 개정을 요구했다.
신 위원장은 기념식 축사에서 “단 한명의 구조도 없었던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80일이 넘었다. 게다가 그 이후에도 제2의, 제3의 세월호 참사가 계속되는 현실은 큰 변화가 없다”며 “철도사고, 지하철 추돌, 병원화재, 터미널 화재, 타워 붕괴, 백화점 붕괴, 제조업 중대재해 등 어느 한곳도 세월호가 아닌 현장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서 “이라크 전쟁 사망자보다 많은 2,400명의 노동자를 매년 죽음으로 몰고 간 산재사망은 노동자의 죽음으로 끝나지 않았다”며 “사업장 안전의 붕괴는 급기야 세월호 참사로 이어졌고, 온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신 위원장은 “사업장 안전의 붕괴가 국민적 재난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자각하고 뼈 속 깊은 반성을 통해 환골탈태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안전보건분야 규제완화 원상회복 △산재사망 처벌강화 특별법 제정 △하청 비정규 노동자 산재예방을 위한 법 개정 △산재은폐 근절 등을 제안했다.
![]() |
[출처: 노동과 세계 변백선 기자] |
민주노총, 반올림 등으로 구성된 ‘산재보험50년 일하는 모든 이들의 산재보험과 안전할 권리를 위한 공동행동’은 지난 2일, 코엑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산재보험개혁 10대 요구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들은 10개 개혁 요구안으로 △모든 산재를 산재로 인정 △건강보험과 같은 쉬운 산재보험 제도로 개혁 △특수고용, 해외현장 노동자 등에게도 차별 없는 산재보험 적용 △공단 입증책임 강화 △산재보험 심사, 승인 체계 개혁 △치료비 전액 보장 산재노동자 직장 복귀 법제화 △산재병원의 공공성 강화 △대기업 산재보험료 감면 제도 폐지 △산재보험 재정 정부 출연금 약속 이행 등을 요구했다.
한편 민주노총을 비롯한 시민사회는 오는 9일, 2014년 살인기업 선정식 및 산재보험 50주년 기념 ‘노동자가 바라본 산재보험 실태와 개혁방안’ 토론회 등을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