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눌렸던 특수교육지도사 노동권...“참지 않겠다”

공공노조 교육공무직본부, 국회에서 토론회 열고 요구안 제시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교육은 특수교사만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아래 장특법)에 규정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존재가 있기에 특수교육이 온전해 질 수 있다. 수업시간 지원뿐만 아니라, 식사 및 용변 보조, 이동지원 등 이들이 해내고 있는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이들 ‘특수교육지도사’들은 특수교육 현장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지만, 열악한 처우와 고용불안으로 인한 불만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이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아래 교육공무직본부)는 8일 국회에서 토론회를 열고 특수교육지도사들의 노동권 보장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알렸다.

이날 토론회에는 약 250여 명의 특수교육지도사가 참석해 이들의 요구가 얼마나 간절한지를 실감케 했다. 이들은 토론회 내내 자신들이 처한 근무여건의 열악함을 토로하며 개선의 시급함을 강조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는 8일 국회에서 토론회를 열고 특수교육지도사의 열악한 노동조건과 처우 개선 요구를 알렸다. [출처: 비마이너]

저임금에 골병까지 드는 특수교육지도사

미술 시간 특수교육대상 학생이 휘두른 칼에 상처를 입기도 하고, 특수교육대상 학생이 던진 공에 눈을 맞기도 합니다. 늘 긴장상태로 근무해야 함에 온 몸은 근골격계 위험 상태로 파스로 포장되고, 상처투성이가 됩니다. 아픈 몸으로 매번 반복되는 돌발 상황에 특수교육지도사는 몸을 던집니다. (경북 특수교육지도사 한○○ 씨)

1교시부터 아이들의 손을 잡고 휠체어를 밀고 기저귀를 갈고 똥 묻은 팬티를 빨기 시작해서 한 시간도 쉬는 시간 없이 7교시를 마치면 오후 3시. (게다가) 내가 맡은 학생이 돌봄교실과 방과 후 프로그램에 참여하겠다고 신청했습니다. 미술과 클레이 공예에 가서 한 시간, 돌봄교실에 가서 한 시간 지원하고 오면 5시 퇴근 시간입니다. 나는 무쇠 팔, 무쇠 다리, 지칠 줄 모르는 강철 체력 인조인간 로봇이 아니라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휴게시간을 보장받을 권리가 있는 노동자입니다. (강원 특수교육지도사 정○○ 씨)

밥값 안 주는 것도 서러운데 다쳐도 내 돈 주고 병원 가야 하는 신세입니다. 아이들이 깨물고 꼬집고 직접 부딪히는 건 실무원인데 우리에게 위험수당 안 준다는 건 말이 안 됩니다. 똑같이 애들 돌보는 일인데 급여 차이 나는 건 그렇다 쳐도 밥값도 안주고 위험수당도 안 주고, 거기에 성과급을 특수교사들은 몇 백씩 주는데 실무원은 0원. (모 지역 특수교육지도사 △△씨)


교육공무직본부에 따르면, 전국의 특수교육지도사는 2014년 현재 총 7875명이고, 매년 그 수가 꾸준히 늘고 있다. 이들 중 여성이 전체의 96.7%에 달한다. 고용 형태는 무기계약직이 84.3%, 기간제 13.2%이다. 최근 교육감 직접고용이 실시되면서 무기계약직 비율이 늘었다.

그러나 이들은 여전히 고용불안에 시달리고 있다고 호소한다. 교육감 직접고용으로 노동법상 사용자는 교육감이지만, 여전히 장애학생 감소 등을 이유로 해당 학교에서 해고되거나 퇴직을 강요당하는 사례가 많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들은 “학교 사정으로 인해 고용관계가 단절되지 않도록 교육감이 책임지고 배치해야 한다”고 요구한다.

최저임금 수준에 그치는 저임금 체계도 문제다. 이들은 평균적으로 2014년 기준 최저임금 시금 5210원보다 불과 740원 높은 5950원을 적용받고 있으며, 이는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제조부문 단순노무종사원 기본급 하루 노임단가 6만3326원과 비교해도 한참 낮은 것(4만7600원)이다.

여기에 정규직에게는 매달 13만 원의 식대가 지급되지만 특수교육지도사에게는 해당되지 않고, 성과상여금도 전혀 없다. 또한 근속년수에 따른 호봉도 적용되지 않아 10년 이상 일해도 월급이 150만 원을 넘지 못한다.

이뿐만이 아니다. 지난 6월 한 달간 교육공무직본부가 전국 652명의 특수교육지도사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업무상 부상 경험이 있다고 답한 사람이 총 395명(60.6%)에 달했지만, 산재처리를 받았다고 답한 사람은 8명(2.3%)에 불과했다.

게다가 이들의 직무상 명칭 또한 여전히 혼란스럽다. 장특법에서는 이들을 ‘특수교육 보조인력’이라고 지칭할 뿐 정확한 직무명칭을 정하지 않았다. 경기·강원·전북 지역만이 ‘특수교육지도사’라는 명칭을 쓰고 있는 반면, 그 외 지역은 ‘특수교육실무원’ 또는 ‘특수교육보조원’이라는 명칭을 쓰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교육공무직본부는 직무만족도를 저하할 수 있는 ‘보조인력’, ‘보조원’ 등의 명칭을 사용하지 말고, ‘특수교육지도사’로 통일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특수교육지도사 노동자들이 20일 파업을 결의하며 박수를 치고 있다. [출처: 비마이너]

20일 학교비정규직 노동자 파업 예고

이처럼 열악한 처우의 개선을 요구하기 위해 특수교육지도사를 포함한 교육공무직본부 소속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오는 20일 전국에 걸쳐 파업에 나선다.

학교비정규직은 특수교육 분야 외에도 급식실, 교무실, 행정실, 과학실, 전살실, 도서관, 돌봄교실, 학교시설물 관리 및 안전관리 등 학교운영에 꼭 필요한 업무들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정규 교직원의 대우를 받지 못하고 사실상 유령과 같은 취급을 받고 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이에 교육공무직본부는 파업투쟁을 통해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에 대한 식비 지급, 방학 중 생계 대책 마련, 성과상여금 지급, 전 직종에 수당 지급 등을 요구할 계획이다.
덧붙이는 말

하금철 기자는 비마이너 기자입니다. 이 기사는 비마이너에도 게재됩니다. 참세상은 필자가 직접 쓴 글에 한해 동시게재를 허용합니다.

태그

장애인 , 특수교사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하금철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
  • 답답하군요

    학교 비정규직 2년이상 되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됩니다. 대부분 일하시는 분들이 무기계약직으로 일하고 계시구요. 무기계약직이 된 이상 교육감이 부당하게 해고할 수 없는데 그럴 수 있는 것처럼 표현해 놓으셨군요.
    또한 특수교육지도사라는 명칭은 제28조의 특수교육 관련서비스에 따르면, 각급 학교의 장은 특수교육 대상자를 위하여 보조 인력을 제공해야 한다(제3항). 동법 시행규칙 제5조(보조 인력의 역할 및 자격)에 따르면 특수교육 보조원의 역할은 주로 교사의 지시에 따라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학습활동, 신변 처리, 급식, 교내외 활동, 등·하교에 대하여 보조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고 있다...에서 보듯이 지도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 않으며, 지도사라는 명칭은 업무나 역할상 교육계에 큰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주변에 어느 학교를 가봐도 유령과 같은 취급을 받고 있는 분들 보지 못했습니다. 주변에 물어봐도 그런 분들은 한 분도 없었구요. 학교는 특성상 따뜻한 곳이 더 많습니다. 하지만 요구는 더 하고 싶으니 자신의 처지를 합리화하기 위해 언론에 동정표를 얻기 위한 노출은 많이 하시더군요. 처우개선에는 동의하나 극소수의 상황을 일반화하여 언론을 선동하지 마십시오.
    교육공무직이 최종 목표십니까?
    정정당당한 루트로 시험봐서 들어오세요. 거대한 흐름을 타고 어찌어찌 편승하려고 하지 마시구요. 보다 보다 못해서 글 쓰고 갑니다.

  • 적당히 좀 합시다

    그리고 교사들도 위험수당 따로 받지 않습니다. 똑같이 애들 돌보는 일이라뇨? 학교에서는 보육이 아니라 교육을 합니다. 성과금은 원래 월급에서 받을 돈을 따로 떼서 일년에 한꺼번에 주는 거구요. 보너스 개념이 아닙니다. 월급에서 떼는거에요. 지도사 분들 인터뷰 보니 교사하셔야겠네요. 정식으로 대접받고 대우받고 싶으시면 4년제 특수교육과 나오셔서 임용시험 보시고 요즘처럼 20대 1이 넘는 경쟁율 뚫고 들어오시죠.
    그리고 아프고 힘들다는 분들, 문제아동의 특성상 그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특수교육실무사분들 연령이 40대가 대다수에요. 체력이 떨어질 때입니다. 어렵고 힘들다... 그러면 지원하지 마세요. 장애아동 지원하는거 정말 쉽지 않습니다. 정신적, 육체적으로 고된 일입니다. 정말 사명감 가지시고 체력적으로 버틸 수 있는 분들만 지원하셨으면 좋겠어요. 제발 장애아동을 돈벌이 수단으로 생각하지 마세요. 단체협약 내용보니 수련회 등등 1박 2일 가는 것도 잘 때도 아동을 지키고 있으니 그 시간도 인정해달라 하는데 정말 기가 찰 노릇입니다. 밤을 꼬박 새시겠다는 건가요? 그 밖에 교권침해 내용이 많지만 말을 줄이겠습니다. 제발 적당히 좀!!!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