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베스, 새 개헌 내용 의회에 밝혀

임기제한 없애는 것도 포함돼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이 15일 새 개헌 내용을 의회에 밝혔다. 개헌의 내용에는 대통령 연임제한 폐지 및 대통령 임기를 6년에서 7년으로 연장하는 내용도 들어있다.

차베스, 종신집권 의도 비난 일축

의회에 참석한 차베스 대통령은 현재 6년으로 되어 있는 대통령임기를 7년으로 늘릴 것을 제안했다. 차베스 대통령은 “만약 누군가가 이것을 두고 장기집권이라고 한다면, 그건 아니다”라고 비난을 일축했다.“그건 하나의 가능성일 뿐이고, 많은 다양한 변수에 달려있는 가능성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베네수엘라는“지구상의 그 어느나라 보다도 더 민주적”이라며 민주주의에 대한 자신감을 표현했다.

차베스는 1998년 대통령에 당선 되었다. 2000년 새 헌법 속에서 치러진 대선에서 대통령에 당선 되었고, 2006년 12월 재선에 성공해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다. 현행 헌법 아래서 차베스는 2012년이 되면 임기에서 물러나야 한다.

외환보유고 직접통제 등 경제, 사회변혁 내용 담아

이 외에도 하루 최대 노동시간을 6시간으로 축소할 것과 외환보유고에 대한 통제권한을 대통령에게 주는 등의 내용도 헌법 개정안의 내용에 들어 있다. 중앙은행에 있던 자율권보다 중앙정부의 권한을 강화함으로써 ‘21세기 사회주의’를 향한 경제 개혁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는 차베스 대통령의 의지로 읽힌다. 법원에서 기업 자산에 대한 수용명령을 내리기 전에 정부가 사적 기업의 자산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도 주어진다.

협동조합이 관리하는 새로운 자산의 형태도 개정헌법에서는 도입된다. 천연가스와 석탄 산업 국유화, 군대의 일부분으로 구성되는 '인민민병대'의 창설 등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런 내용의 헌법 개정안이 통과된다면 차베스 대통령과 베네수엘라 민중들의 21세기를 위한 혁명은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협동조합 등 새로운 자산형태를 도입하고, 외환 및 사적 기업에 대한 통제를 높이는 것을 통해 사회변화를 추진할 수 있는 더욱 큰 힘을 가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차베스 대통령은 이번 개헌의 과정에서 반대파들이 “큰 싸움”을 걸어올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전직 의원이자, 차베스 반대 세력의 선두에 서있는 한 인사는 이번 개헌 제안내용에 대해 “차베스가 야당의 입지를 좁히려고 하는 것”이라며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그러나 의회 연설에 앞서 진행된 한 텔레비전과의 인터뷰에서 차베스 대통령은 “수많은 다수”가 자신의 계획을 지지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차베스가 15일 개헌내용을 공개하자 의회 밖에서 베네수엘라 민중들은 붉은 셔츠를 입고 ‘국민투표 찬성, 21세기 사회주의로 가는 길’이라며 차베스를 응원하기도 했다.

베네수엘라의 차베스 대통령에 대한 높은 지지도를 감안한다면, 차베스 대통령의 개헌 제안은 의회에서 무난히 통과될 것으로 보인다. 이후에 이 안은 국민투표에 붙여진다. 차베스 대통령은 처음 대통령에 집권한 후 의회를 해산하고, 1999년 제헌의회를 통해 볼리바르주의 헌법을 제정한 바 있다.
태그

개헌 , 차베스 , 볼리바리주의 헌법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변정필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
  • 노동자

    차베스를 지지하지만 종신집권은 과연 어떤 의미로 봐야할까요?
    선량한 독재, 정직한 독재를 어떻게 볼것인가?
    쿠바의 카스트로와 비슷한 길을 갈것같은 차베스..
    진보적인 생각을 가지신 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 고민

    저도 토론을 좀 하고 싶네요. 민주주의 제도의 발전은 역사의 경험적 축적으로 형성된 것이라 생각합니다. 장기집권에 대해 제도적인 장치가 있는 것은 과거 되먹지 못한 독재세력의 남용을 막기 위해서 형성된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지요. 하지만, 저는 얼마전 우리나라에서 개헌 관련 논의를 할때를 떠올려 봅니다. 단임제와 연임제 개헌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갑론을박을 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물론, 진보주의자들은 개헌에 대한 논의가 대통령 임기에 맞춰진 원포인트가 아니라, 새로운 헌법를 주장했었지요.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단임제가 진보적인가? 혹은, 연임제가 진보적인가?
    대통령의 임기와 진보는 오히려 관련이 없습니다.
    사회주의 국가에서 훌륭한 지도자가 있다면, 저는 해에 관계없이 임기를 수행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통령의 임기 그 자체가 독재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독재란 임기의 장기화 됨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부정적인 현상에 따라, 그 지도자와 정권의 옳고 그름을 판단 할 수 있을것입니다.

    가령, 대통령 단임제가 실시되는 자본주의 국가 대한민국은 '21세기 fta독재'국가 아닙니까? 대통령 연임제가 실시되는 미국은 독재를 넘어 '제국주의'잖습니까.

    그렇기 때문에. 저는 차베스의 대통령 종신 개헌을 무조건 싸잡아 '독재'라고 비판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문제는 종신 개헌에 따른 '제도'가 아니라 어떤 '정치'를 하느냐에 따라, 그가 민주주의자인지, 아닌지에 대한 여부가 판단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번 지켜보도록 합시다.
    무조건 독재라고 욕하지말고요..ㅎ

  • 지나가는이

    차베스의 최근 행보는 좀 위태로워 보이는게 사실입니다. 물론 높은 지지를 받고 있는 그이니 합법적인 절차내에서 개헌도 이루어질 것은 분명합니다만... 노동자님이 말씀하신대로 카스트로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네요.
    차베스에 대해서 저는 판단을 유보하고 있습니다. 좀 더 지켜봐야겠다고 밖에 말할 수 없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