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집권 내내 언론장악 시도로 언론환경 피폐

이명박 정부와 언론노동자, 언론장악의 현주소

200명 넘는 징계자 MBC ‘공정성 하락’ 최대 피해
3대 지상파, YTN, 연합뉴스, 국민일보, 부산일보 등
부산일보.MBC 둘러싼 정수장학회 여전히 대선 뇌관


4.19 혁명 내내 국영방송 KBS는 총상으로만 200명이 넘게 죽은 거리 시위를 단 한 번도 다루지 않았다. 그러고도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자마자 기다렸다는 듯이 ‘정치중립’을 선언했다. 1979년 박정희 사망 직후에도, 1987년 6.29 선언 직후에도, 언론은 늘 자기 반성과 ‘정치중립’을 선언하면서 발빠르게 변신했다. 이런 일은 1997년 12월 김대중 대통령 당선 때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선언은 늘 선언으로만 그쳤다. 언론은 늘 새 권력의 품에 안겨 흥얼댔다.

이명박 정부의 언론장악을 놓고 사람들은 ‘80년 국보위’와 다를 것 없다고 한다. 정권 초기부터 지금까지 줄곧 진행형인 이명박 정부의 언론장악의 현주소를 점검해본다.

KBS 탐사보도팀장을 하다가 팀원으로 강등됐다가 부산을 거쳐 울산까지 쫓겨난 김용진 울산 KBS 기자는 다시 정권교체가 이뤄져 “국민 여러분 잘못했습니다. 앞으론 공정보도 하겠습니다”라고 해봤자, 이젠 국민들이 믿어 주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명박 정부 4년 반 동안 언론 환경은 그만큼 피폐해졌다.

부산일보와 MBC를 둘러싼 정수장학회 논란은 여전히 대선 뇌관으로 작동하고 있다.
요즘 MBC의 보도 행태만 봐도 정치권력의 언론장악이 얼마나 무서운 결과를 낳는지 여실히 드러난다.
MBC는 현 정부 들어 가장 많은 파업을 벌이며 4년 내내 싸웠다. 그 결과 지난 9월 말 현재 8명의 해고자와 정직 79명, 출근정지 1명, 감봉과 감급 443명, 근신 30명, 경고 2명, 주의각서 7명, 대기발령 54명, 명령휴직 3명까지 모두 223명의 언론인이 징계 당했다. 현 정부 4년 반 동안 징계 당한 언론인이 모두 447명임을 감안하면 단일 언론사로는 최고로 많은 숫자다. (표 참고)


MBC가 지난 10월 1일 방송한 안철수 후보의 논문표절 의혹을 보도했다. 10월 16일엔 메인뉴스 톱기사로 ‘노 전 대통령, NLL 영토선 아니다’라는 제목의 보도도 했다. 안 후보 표절 뉴스는 보수적 대선선거방송심의위원회조차 공정성과 객관성을 위반했다며 ‘경고’를 의결했다. NLL 뉴스는 대선공정보도실천위원회가 진행한 트위터, 누리꾼 선정 최악의 대선보도에서 압도적 표차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NLL 뉴스는 여러 언론이 5년 전 보도한 내용을 짜깁기해 마치 특종인양 보도해 많은 네티즌들의 웃음을 샀다.

지난 11일에는 당선 무효형이 선고된 김근태 새누리당 현직 의원을 고 김근태 전 민주당 고문의 사진으로 내보내는 실수로 비난을 사기도 했다.

MBC 메인뉴스 시청률은 곤두박질 쳤다. 미리 예고까지 한 박근혜 후보의 정수장학회 회견으로 전국이 떠들썩했던 10월 21일(일요일) 뉴스데스크 전국 시청률은 3.4%였다. 같은 시간 방송한 SBS 뉴스 시청률은 9.6%, 한 시간 뒤 KBS 9시뉴스는 16.3%였다. 군사정권 내내 압도적이었던 MBC 뉴스의 인기는 몰락했다.

누가 MBC를 이렇게 만들었는가. 종군기자로 명성을 날렸던 이진숙 기획홍보본부장은 MBC 기자회에서 제명된 뒤에도 정수장학회 이사장을 만나 MBC 민영화를 비밀리에 추진하다 추한 얼굴을 드러냈다.

MBC의 몰락을 일선에서 지휘하는 사람은 단연 김재철 사장이다. 공금유용과 여성관련 추문에도 절대 권력을 놓지 않고 버티고 있다. 김 사장을 해임시킬 권한을 가진 MBC의 주인인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 이사회조차 그를 어찌할 수 없다. 물론 김 사장의 뒤엔 정치권력이 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2008년 12월 한나라당의 7대 언론법 개악을 저지하기 위해 파업에 들어갔다. 전국의 유력 지방신문 23개사와 MBC, SBS가 선두에 섰다. 이미 YTN은 2008년 7월부터 구본홍 사장의 낙하산 저지를 외치며 들어간 파업을 계속 중이었다.

2008년 연말 파업의 쟁점은 7대 미디어 악법이었다. 정부와 한나라당은 공영방송 구조 해체, 거대 재벌의 지상파 방송 진입허용, 조중동 독과점 신문의 지상파방송 겸영허용, 인터넷미디어와 네티즌 완전 장악을 위해 정권 초기부터 이렇게 매진했다.

2009년 2월 26일 한나라당의 미디어법 기습상정에 맞서 다시 MBC 노조와 KBS 프로듀서, SBS, EBS, YTN, CBS가 파업에 들어갔다. MBC는 파업을 중단한지 50일 만에 다시 파업에 들어갈 수밖에 없었다. 여론에 밀린 정권은 다시 주춤했다.
정치권의 논의를 지켜보겠다며 일주일 뒤 파업을 접었지만 MBC를 비롯한 많은 언론 노동자들에겐 중징계가 기다렸다.

한 달만에 재파업을 선언한 언론노조를 향해 정권은 노종면 YTN 지부장 등 조합원 4명의 체포로 대응했다.

결국 정부와 한나라당은 2009년 7월 22일 끝내 미디어 관련법을 날치기 처리했다. 정부는 2008년 집권 초기부터 정연주 KBS 사장과 MBC 엄기영 사장을 밀어내는 강공 끝에 취임 1년반 만에 미디어법을 통과시켰다.

2010년에도 정부와 언론노동자의 대결은 계속됐다. MBC노조가 낙하산 인사 논란을 빚은 황희만 전 보도본부장을 부사장에 임명하자 김재철 사장의 퇴진을 요구하며 2010년 4월 파업에 들어갔다. 이 파업으로 MBC 노조는 100명이 넘는 징계자를 낳았다.

이근행 노조위원장과 오행훈 프로듀서가 해고됐다. 2010년 7월엔 기존 노조의 무대응을 극복하고 들어선 KBS 새 노조가 한달 내내 파업을 벌였다. 이명박 대톨영 특보 출신인 김인규 사장의 취임을 막기 위해서였다.

순복음교회 조용기 목사 일가의 전횡에 맞선 국민일보 언론노동자의 파업도 2011년 12월부터 2012년 6월까지 173일동안 진행됐다. 노조는 힘겹게 파업을 이어가며 지면평가위원회 등의 명분을 얻었지만 핵심 노조간부의 해고를 받아들여야 하는 아픔을 겪었다.

연합뉴스도 2012년 3월부터 6월까지 100일 동안 파업을 벌였다. 이 역시 ‘공정보도 쟁취와 사장 연임 저지’를 내건 파업이었다.

가장 큰 피해를 입은 MBC 파업을 이끌었던 쟁쟁한 기자와 프로듀서 8명은 해고됐고, 95명의 유능한 언론노동자는 ‘신천 교육대’라 불리는 MBC아카데미에서 ‘요가 강습’ ‘샌드위치 만들기’ 같은 말도 안 되는 교육을 받고 있다.

지난 9월말 현재 223명이 징계 당한 MBC에 이어 KBS는 133명, YTN은 51명, 국민일보는 20명, 연합뉴스는 9명, 부산일보와 SBS가 각각 4명의 징계자를 내 현 정부 들어 모두 447명의 언론노동자가 징계 당했다.

부산일보 편집국장 해고 “법적투쟁 계속”
노조 새 지부장 “정수장학회 사회환원 투쟁 계속”


정수장학회를 상대로 한 노조 투쟁으로 대기발령을 받았던 이정호 부산일보 편집국장이 임기를 2개월여 남겨두고 결국 해고됐다. 부산일보는 19일 "대기발령 후 6개월 내에 보직을 받지 못 하면 자동 해임된다는 사규에 따라 이정호 국장이 회사와 맺은 근로관계가 19일부터 자동 해지됐다"고 밝혔다.

이정호 국장은 지난해 11월 18일 부산일보 1면에 '부산일보 노조, 정수재단 사회환원 촉구'라는 제목으로 노조의 재단 상대 투쟁을 지면에 보도했다. 회사는 사규를 위반하고 지시명령을 거부했다는 등의 이유로 이 국장을 대기발령했으나 이 국장이 출근을 계속하며 업무를 수행하자 회사는 직무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 올해 2월 법원은 이 국장 징계가 부당하다고 판결했다.

회사는 지난 4월 다시 징계위를 열어 두 번째 대기발령했다. 회사는 법원에 직무수행 및 출입금지 가처분 신청을 내고 책상과 전화기 컴퓨터 등을 수거했다.

조선 부산일보 총무국장은 "노조에 신임 편집국장 후보추천 절차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정호 국장은 계속 법적투쟁을 통해 "징계의 부당성을 알리고 정수장학회의 사회 환원을 촉구하는 활동을 계속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호진 언론노조 부산일보지부장은 “회사의 징계와 해고를 인정 못하기 때문에 새 국장 후보추천 요구에 응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24일 부산일보노조 지부장 선거에서 기존 노조와 노선을 같이 하는 서준녕 기자가 결선투표 끝에 당선됐다. 부산일보 사측의 새 편집국장 임명계획은 노조와 마찰이 불가피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