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바닥에 잎을 바짝 붙이고 겨울바람을 견뎌낸 냉이, 망초, 지칭개, 꽃다지 따위 두해살이풀들이 땅바닥에서 잎을 떼고 일어선다. 풀들 가운데선 벌써 작은 꽃봉오리를 오종종하게 달고 줄기가 올라오고 있다. 줄기를 땅바닥에 눕히고 겨울은 난 별꽃, 점나도나물, 광대나물 따위도 고개를 들 듯 줄기를 조금씩 세우고 있다. 땅에 눕던 풀은 검붉은 색이었다. 흙색과도 잘 구별되지 않았다. 일어서는 풀은 초록색으로 바뀌어 간다.
뿌리에서 나온 잎을 땅에 붙이고 겨울을 난 방석식물들은 이 무렵엔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냉이와 속속이풀은 너무나 똑같다. 지칭개 역시 이때는 냉이와 구별하기 쉽지 않다. 냉이인 줄 알고 지칭개를 잔뜩 캤다가 지칭개 쓴 맛 때문에 다 버렸다는 얘기를 심심찮게 듣게 된다. 냉이 냄새는 누구나 알고 있다. 냉이는 독특한 냉이 냄새로 알 수 있다. 냉이와 속속이풀은 냄새로 가려내면 된다. 지칭개는 잎 뒤에 빽빽이 털이 나 있어 하얗게 보이니까 잎을 뒤집어서 눈으로 가려내면 된다.
냉이나 꽃다지는 뿌리 잎을 키우기보다는 서둘러 줄기를 내고 꽃을 피운다. 지칭개는 냉이와 꽃다지보다는 성질이 느긋해 보인다. 먼저 뿌리 잎을 더 크게 키운다. 줄기가 자라날 즈음이 되면 지칭개 뿌리 잎은 냉이랑 견주지 못할 정도로 큼직하게 자라 있다. 어른 손바닥을 펼친 것보다 넓게 펼쳐 자란 지칭개는 줄기가 자라나 여름 내내 연한 자주색 꽃을 피운다.
지칭개도 즐겨 먹어왔던 나물 가운데 한 가지다. 나물하면서 부르는 노래에는 '쏙쏙 뽑아 나싱게(냉이) 잡아 뜯어 꽃다지'와 함께 '이 개 저 개 지칭개'도 빠지지 않고 나온다. 지칭개는 물에 담가 쓴맛을 우려내고 나물로 해먹는다. 된장국을 끓여도 좋다. 쓴맛은 입맛을 돋우어 준다. 이른봄에는 쓴맛이 나는 나물이 어울린다. 지칭개는 잎도 크고 뿌리도 커서 몇 개만 캐도 충분히 먹을 양이 되기 때문에 나물하기도 쉽다. 지칭개는 지천에 널려 있다. 자투리 텃밭이나 돌투성이 빈터에서도 자란다. 산책길에 지칭개를 한번 찾아보자. 가슴 속에 누워 있던 봄이 일어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어떤 게 지칭개 잎일까?
① 지칭개 ② 뽀리뱅이 ③ 서양민들레 ④ 냉이 ⑤ 냉이 ⑥ 속속이풀 ⑦ 황새냉이 ⑧ 애기똥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