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천안함은 좌초다”...항로 자료공개 요구

신상철 조사위원, “폭발흔적이 없는데 어뢰라니”

지난 20일 민군합동조사단에 의해 천안함 침몰 원인 조사결과가 발표되고, 24일엔 이명박 대통령의 담화까지 일사천리로 발표 됐지만 여전히 천안함 침몰원인은 의혹의 바다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문제는 군이 애초부터 정보공개를 거부했던 천안함의 항로와 속도, 엔진기동상항, 교신기록 등과 같은 기초자료를 결과발표에서도 전혀 공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부 주장대로 어뢰공격에 의한 버블제트를 원인으로 보기엔 배의 상태에 폭발 흔적이 보이지 않았고, 기초적인 자료 공개가 합조단 발표에 신뢰를 더할 텐데도 자료를 감추고 있어 의혹을 더 증폭시켰다.

  천안함 침몰 조사결과 토론회에서 신상철 합동조사단 조사위원은 백령도 주변 뱃길을 표시한 지도를 상세히 설명하며 “백령도 주변은 (지도상) 녹색으로 표시한 길밖에 배가 다닐 수 없는데 이 부분이 굉장히 좁아서 한쪽이 밀고 나가면 부딪힐 수밖에 없는 길”이라며 “천안함의 항적과 위치, 배의 속도 등을 공개하고 그 위치가 좌초할 만한 지형이 아니라고 해야 좌초가 아니라는 주장에 신빙성이 생긴다”고 강조했다.

이런 의문점들을 다시 짚어보기 위해 24일 참여연대는 천안함 사건 조사결과에 대한 긴급 토론회를 열고 조사결과의 문제점을 돌아봤다.

이날 토론회에서 특히 신상철 민군합동조사단 조사위원은 천안함 좌초 주장을 더욱 강하게 주장했다. 그는 “좌초설이 아닌 좌초”라며 “어디를 봐도 폭발흔적이 없었고 배의 상태는 좌초를 설명해 주고 있다”고 밝혔다. 신상철 위원은 “합조단은 좌초가 아니라고만 주장할 것이 아니라 천안함이 어디에서 어디로, 어느 정도 속도로 갔고, 엔진기동사항은 어땠나를 공개하면 심플하게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신상철 위원은 준비한 파워포인트를 통해 바닥 스크래치, 천안함 함미의 스크루 블레이드(프로펠러) 상태, 백령도 주변 뱃길 등의 자료를 제시하고 합조단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신 위원은 “선박이 육지와 닿으면 그 자체가 큰 사고로 데미지 떠나 구조적으로 큰 문제를 야기한다”며 “어마어마한 쇠구조물이 육지에 닿으면 쇠구조물 내부에 전단응력 등 피로도가 누적되고 엄청난 바닥의 데미지는 폭발로 일어날 수가 없다”고 반박했다.

스크루 블레이드 5개가 모두 안쪽으로 휜 것을 두고 바닥에 떨어지면서 스크루가 돌았다는 주장엔 “엔진이 스톱했는데 어떻게 스크루가 도느냐고 미국 쪽 전문가에 물었더니 물속에 내려가면서 돌 수가 있다는 거다. 이 부분은 이 엔진을 제조한 회사에 물어보면 답이 나온다”고 지적했다. 신상철 위원은 “스크루가 돌았다고 해도 바닥에 닿으면 정지되기 때문에 블레이드는 하나만 휘어야 한다. 5개가 다 휘었다는 것은 육지에 닿았다 후진했다는 증거”라고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그는 배 바닥 스크래치를 놓고 지난 연평해전 당시 침몰됐던 참수리호 사진과 비교하며 “천안함은 물속에 20일 있었지만, 53일 있었던 참수리는 밑이 깨끗하다. 뒷부분에 스친 부분이 있을 뿐 참수리호 밑은 깨끗하다”며 “천안함 정도의 배 밑 손상이면 백령도의 딱딱한 모래톱에 그대로 닿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최초 좌초된 상태에서 무리하게 운항을 하다 군함 등과 충돌가능성에 가장 큰 무게를 뒀다. 백령도가 안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 때문이라는게 그의 설명이다.

신 위원은 1차로 백령도 모래톱에 좌초된 천안함이 급하게 빠져 나오면서 다른 배와 충돌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충돌가능성을 제기한 이유는 우선 침몰위치 주변에 거대암반은 없었기 때문에 암초는 배제했다. 피로파괴 가능성도 배가 위에서부터 찢어져야 하기 때문에 피로파괴도 아니라고 추정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그는 어떤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을 가장 염두에 뒀고 백령도라는 특수성 때문에 어선 등이 그 시간에 다닐 수 없어 군함일 가능성이 제일 크다고 추론했다.

신상철 위원은 “수천년 동안 규조토가 쌓여 백령도와 대청도 사이엔 암초가 존재한다. 그래서 백령도는 배가 다닐 수 있는 길이 너무 좁다”면서 “기록을 찾아보면 해군과 어선 충돌사례도 적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신 위원은 백령도 주변 뱃길을 표시한 지도를 상세히 설명하며 “백령도 주변은 (지도상) 녹색으로 표시한 길밖에 배가 다닐 수 없는데 이 부분이 굉장히 좁아서 한쪽이 밀고 나가면 부딪힐 수밖에 없는 길”이라며 “천안함의 항적과 위치, 배의 속도 등을 공개하고 그 위치가 좌초할 만한 지형이 아니라고 해야 좌초가 아니라는 주장에 신빙성이 생긴다”고 강조했다.

배 밑에 있는 소나돔이 멀쩡해 좌초가 아니라는 주장에 대해선 “소나돔은 폭 30센티에 길이 90센티로 그 안에 소나가 들어 있다”며 “배 길이가 88미터에 폭이 10미터인데 그 일부분이 닿지 않아서 좌초가 아니라는 것은 국민을 바보로 보는 것”이라고 밝혔다.

버블제트에 의한 파괴라는 주장을 놓고도 “사고 해역의 깊이가 처음 3미터에서 6-9미터로 늘어났지만 어느 깊이든 어뢰가 터졌으면 버블제트 형성 전에 이미 어뢰파편이 배 바닥을 벌레처럼 구멍을 내야하지만 예쁘게 말려들어간 흔적만 있다”며 “그 정도 폭발이면 실제 작은 모형실험으로 검증이 가능한데도 전혀 검증하지 않고 결론만 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초정보인 항로, 침몰 위치, 엔진기동상황, 교신기록 등을 공개하는 것이 조사의 첫 스타트인데 객관성과 투명성, 공정성을 담보 못한 발표”라며 “국정조사를 통해 새롭게 조사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태호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도 “정부가 조사결과를 발표했지만 가장 기본적인 육하원칙이 빠져 의혹이 더 일고 있다”면서 “연어급 잠수함이라는 것도 발표에서 처음 들었다. 잠수정의 기본 잠항능력이 있는데도 그게 몇 시간이라는 것도 알려주지 않고 5일간 추적을 못했다는데 어떤 모선에서 잠수함 튀어나왔는지 정도는 알려줘야 한다.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제기했다. 이태호 사무처장은 “후속조치로 국정조사를 하기로 헸는데도 먼저 대북조치 부터 취했다”며 “여야가 합의한 남북합의서를 철회 하려면 적어도 여야 합의가 필요한데 외교적 군사적 조치부터 취하면 이후 복권은 매우 힘들기 때문에 서두를 필요가 있었나 싶다”고 덧붙였다.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는 “정부가 100% 북한 도발 확신을 갖고 있다면 민간에서 문제를 제기하는 분들과 공개토론이 필요하다”며 “20일 조사결과 이후엔 원인에 대한 문제제기에 일절 대응하지 않는 형태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욱식 대표는 이어 또 다른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정 대표는 “개인적으로 드는 의문은 북잠수정이 천안함의 이동경로를 어떻게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지 그 부분에 대해선 일언반구도 없었다”며 “북한의 위성장비나 도감청 장비는 노후화 됐고 북한의 감시정보 능력이 야밤에 작전하기 힘든 그 지역 이동경로를 정확히 파악한 부분에 대해 한마디 없는 것은 이해가 안 간다. 추가로 해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대표는 “대통령 담화발표 내용도 군통수권자로서 부실한 대응이 명백히 드러났는데도 사과 표명도, 군수뇌부 문책도 없었다”면서 “북한이라는 외부의 적을 극대화해서 정부와 군 당국의 책임은 최소화 하고 선거에 악용할 의도가 엿보이는 대목”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