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더기 비대위’ 침몰 위기 민노 이끌까

김창현, “종북주의 주장 용납 못해, 탈당 막지 않겠다”

김창현 민주노동당 전 사무총장은 9일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어 대선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당내 결속을 다지기 위해 총선 비례대표 후보로 나서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와 함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구성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전략공천(할당제 확대)’은 별도 기구를 신설해 추진하자는 제안을 하며, “심상정 의원이 조건 없이 비대위원장을 수락해야 한다”고 압박에 나섰다.

‘별도 기구’ 명분으로 “조건 없는 비대위 수락” 압박

김창현 전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비대위가 전략공천권을 갖는 것이 당헌 당규상 권한을 넘어 당권을 축소할 우려가 있어 신뢰하기 어렵다는 판단이 있다”며 “굳이 제도로 못을 박지 않더라도 문제를 풀 수 있는 길을 찾아봐야 한다. 독립적 형태의 비례후보추천위원회를 만들면 전략공천의 정신을 살릴 수 있지 않겠냐”고 말했다.

이어 “심상정 의원이 지금이라도 조건 없이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하고 적극 협조를 요청하면 허심탄회하게 협조해줄 수 있지 않겠냐”면서 “‘조건없는 심상정’이 최선이다. 이 사람 저 사람 나와서 표결 들어가는 것이 제일 안 좋은 상황 아니냐”고 심 의원을 거듭 압박했다.

김 전 사무총장은 “당권을 쥔 다수파로서 대선패배의 책임을 통렬하나 패배 원인을 종북주의로 모는 것에는 용납할 수 없다”며 “이들의 종북주의 척결 주장은 당 대선 결과에 대해 구체적 사실에 근거한 평가가 아니라 적개심 표출이며 같이 할 수 없다는 분당론”이라고 말했다.

이어 “분당론의 본질은 당권에 희망을 잃은 사람들의 행태에 불과하다”고 잘라 말하며 “분당 협박에 굴해서 무엇을 양보하는 일은 없다. 종북주의 때문에 탈당하는 것을 무슨 수로 말리겠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분당론자와 논의 여지가 없다는 선 긋기이자, 사실상의 탈당 권유다.

김 전 사무총장은 총선 비례후보 불출마 입장을 밝히며 “당의 원칙과 기준을 분명히 하면서 분당론과 절연하고 당을 단련시키는 일에 헌신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역구 출마 여부에 대해서는 “처(이영순 의원)가 울산 남구 갑에 출마하는데 한 집안에서 두 명이 출마할 수 있는지 집안 회의가 필요해서 오늘 딱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라고 가능성을 열어놨다. 김 전 사무총장의 출마 지역은 울산 동구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상정, “원칙 변함없어..중앙위 결과 따라 최종 결정”

자주파의 수장격인 김 전 사무총장의 이날 제안이 자주파와 심상정 의원에 어느 정도의 설득력을 가질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현재 자주파 내부에서는 ‘전략공천’ 위임을 뼈대로 하는 합의안을 수용하자는 의견과 조기 당직 선거를 통해 새 지도부를 뽑자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내부 의견 차를 좁히는 데도 상당한 진통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설득의 관건인 제안의 ‘진정성’에 대해서도 회의를 품는 시각이 있다. 정종권 서울시당 위원장은 “비대위 합의안의 정확한 내용은 ‘전략공천 확대’와 함께 세부 방침 및 방안에 대해서는 당대회의 최종 승인을 받도록 되어 있다. 심 의원이 처음부터 전략공천권을 요구했다고 말하는 것은 사실을 의도적으로 왜곡하고 있는 것”이라고 분개했다. 이어 “특정인의 불출마 선언으로 대선 책임이 무마되고 당을 좌지우지할 수 있다고 여기는 것 자체가 사태의 본질을 잘못 보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날 심상정 의원은 “특정인의 거취 표명에 대해 코멘트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이미 비대위 구성에 대한 원칙을 밝혔으며, 12일 중앙위원회 결정에 따라 위원장직 수락 여부를 판단하겠다”고만 밝혔다. 이지안 전 공보특보는 “비대위 구성만이 당의 파국을 막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민주노동당은 10일 확대간부회의와 12일 중앙위원회를 통해 비대위 구성에 대해 결론을 내린다.
태그

김창현 , 중앙위원회 , 민주노동당 , 심상정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이윤원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
  • 불씨

    백척간두의 당상황에 대해서 말해본다면...

    1.당의 다수결원리와 제도는 정치노선의 전선과 분파적 정치경향성에서 자유로울수 없는가? 그럼으로 당의 민주주의 구조는 주체의 지도력과 결정권이 당의 주체적 방침을 내릴수 있는가?

    2.당원은 규약과 의무에 대하여 당의토대에서 대중조직과 공간에서 진보정치의 목적의 사명감을 가지고 있는가?

    3.당원의 태도가 당의 결정과 방침이 자신이 생산한 물화라고 생각하며 활동하고 있는가?

    민주노동당은 대중적 진보연합정당이다.의회주의만 대중투쟁만 강조할수 있는 정치결사체가 아니라고 본다.이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것이라고 보면 결국 당은 여러정치 경향의 진보적 성향들이 회의체에서 차이가 당의 존재적 기반인 것이라고 본다.

    그럼으로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어느 정치경향적 입장만 다수결의 논리로 결정하려고 하면 패권이 되고 그것을 부정하는 형태는 분파적 패권이 된다.따라서 이것을 종파적이라면 종파는 주체성 없는 당의 형태가 되며 결국 이것은 외연의 정치적 영향력에 의해서 당이 자유로울수 없다는 것이다.

    어느새 민주노동당은 당원의 자신의 모습을 잃어 버린것 같다.잘해도 의회주의 정당,못해도 대중투쟁과 괴리된 정당 선거를 부정적으로 보는 외부로 부터의 비판에 당원이 자신의 모습을 잃어 버리고 외부의 경향적 관계에 수동적이 되면 당의 구심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대중단체도 전선체도 외부의 진보적 시민단체도 민주노동당의 정치구조를 올바로 인식하고 그 한계를 분명하게 인지한다면 민주노동당이 의회공간에에서 제도권 정치공간에서 제 역활을 할수 있도록 지원의 융합적 관계에 있어야 한다.

    이러한 진보정치관계를 인정하는냐 인정하지 못하느냐에 따라서 당은 모두의 외연적 객체로써 비판이 대상이 되고 있는것 아닐까?
    그럼으로 이것이 당의 진보정치의 질 내용이 대중의 이해와 괴리되는 것이라면 존재하지 물신(物神)이 존재하는 현실이 되어서 끝없는 '정파적'모임들을 개최하게 되고 이러한 유령에 당을 불신하는 현실이 결국 지금의 백척간두의 상태는 아닌가?

    만약의 대외적 정세와 세계사적 정치조류의 이념적 부류의 문제라면 민주노동당의 혁신이나 재창당 그리고 조기지도부 선거론은 당을 빅뱅으로 모는 근거가 될 것이다.

    분명 빅뱅은 사회적 대토론의 정치질서로써 상당한 시간적 조건의 경유와 사상적 정책적 마인드를 형성하면서 창당의 깃발을 세우는 것 아닐까?

    이러한 정치적 해법이라면 민주노동당은
    분화될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본다.

    민주노동당이 존재할때와 존재하지 않을때 대중투쟁의 활동력은 어떠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