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일배’가 복직하는 날 코오롱 다시 꺼내 입으시라

[코오롱 불매 연속기고(8)] 우리가 코오롱을 입을 수 없는 이유

온 국민이 동참하는 코오롱 불매운동을 다시 한번 제안하고자 한다. 불매운동을 통해 코오롱을 망하게 하자는 것이 아니다. 노동자들을 마음대로 해고...

기술만 있으면 먹고 살 수 있다고요?[4]

[진짜 해피콜] 설치수리기사 응원 캠페인...‘물 한잔 대접하기’ 등 5가지 약속

삼성과 LG의 전자제품을 고치고, SK, 티브로드, 씨앤앰 인터넷과 TV를 설치하는 기사들입니다. 그런데 소비자들은 이 기사들이 대기업의 정규직...

8년째 전신불수 투병 아들, 73세 노모 나선 사연

[기고] 매그나칩반도체서 일하다 쓰러져, 진상규명해야

김상우 씨는 충북 청주에 위치한 매그나칩반도체에서 가스엔지니어로 9년 동안 근무하다 2006년 쓰러져 8년째 전신불수 상태로 투병 중입니다. 병...

삼성은 꼼수 부리지 말고, 반올림과 성실히 교섭하라

[칼럼] 7년 간의 요구를 외면해선 안 된다

백혈병이 그 흔한 감기도 아닌데 두 명이 일하다 두 명 다 백혈병으로 죽었는데 이게 산재가 아니면 무엇이 산재입니까? 그런데도 삼성은 산재가 아...

안전 사회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

[기고] 세월호 이후, 인간 존엄 지키고 공동체 회복해야 (2)

‘안전’이란 무엇일까? 그것은 영토나 재산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생명과 존엄을 지키는 것이다. 돈보다 사람이 더 중요하다는 가치를 사회...

세월호 광화문 농성장 소회

[기고] 잊지 않겠다던 약속, 옅어지는 건 아닐까

304명의 목숨을 앗아간 여객선의 이름이 하필 ‘세월호’다. 한 달에도 몇 번씩이나 집회에서 부르는 ‘님을 위한 행진곡’에서 꼭 걸리는 대목. ...

안전 비용 ‘낭비’로 취급하는 사회

[기고] 세월호 이후, 인간 존엄 지키고 공동체 회복해야

우리는 세월호 이전과 이후가 달라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도대체 무엇이 달라져야 할까? 가장 중요한 것은 사회의 가치를 바꾸는 것이다. 기업이 잘...

코오롱 정투위 동지들을 여전히 응원중[2]

[코오롱 불매 연속기고(7)] 불매 산행에서 얻은 희망

과천 본사 점거 농성, 위원장의 17일간의 단식, 한 달이 넘는 송전탑 고공농성, 회장 집 앞에서의 자해, 목숨을 담보로 한 투쟁의 나날들을 거...

불법 노동의 도시 울산, 당신이 할 일은?[1]

[기고] 현대차 모든 생산공정 불법파견 판결 의미와 과제

노사합의에 따른 소송 취하를 이유로 선고가 또 다시 연기되며 애를 태웠던 현대차 불법파견 소송이 열리던 9월 18일 오후 2시 서울중앙지법 56...

현대차 비정규직 소송에서 겪은 일

[기고] 피고 현대차는 소송지연이 전략임을 공공연히 드러냈다

현장검증은 41, 42부 재판부 판사 6명이 울산공장에 내려와 공장의 시스템과 작업모습을 직접 확인하는 것인데, 원고들은 10년 이상 일해도 자...

나는 코오롱 제품을 사지 않는다

[코오롱 불매 연속기고(6)] 자본의 세상에서 버티는 법

기업이라는 이름으로 윤리와 법을 앞세워 자행하는 비윤리적 행위와 불법경영은 거대한 자산을, 대를 이어 쉽게 물려받는 세습 자본주의 천국 대한민국...

퍼거슨 사건을 통해 돌아본 미국 인종 폭동의 역사

[기고] 인종 문제 근본 원인인 흑인 빈곤은 현재진행형

경찰의 총격에 항의하는 시위가 시설의 파괴와 방화, 약탈을 동반한 사태로 발전하는 것 역시 지난날 미국 사회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난 현상과 대단히...

코오롱의 사회적 책임을 묻는다

[코오롱 불매 연속기고(5)] 돈을 벌기 위해 모든 것을 포기할 것인가

정리해고 강행이 10년 후 불매운동으로 돌아왔다. 코오롱은 이런 상황을 가볍게 넘겨서는 안 될 것이다. 회사 스스로가 이윤추구 이외엔 아무런 가...

우리는 사랑에 대해 배우고 있다[1]

세월호 참사 발생 5개월, 진실이 자랄 수 있도록

하나부터 열까지 하나도 풀리지 않는 의문들. 이제는 많이 알려진, 국가가 아이들을 구조 못한 게 아니라 구조하지 않았고 그것마저 철저히 숨겼다는...

나부터 코오롱을 불매할 것이다

[코오롱 불매 연속기고(4)] 코오롱 진정한 자세로 교섭에 나서야

보통 사람들은 아침에 일어나 출근을 한다. 부인과 아이들은 잘 다녀오라 인사를 하고 그렇게 한 가정의 행복함이 시작된다. 그러나 출근을 하고 싶...

논설
사진
영상
카툰
판화
기획연재 전체목록

온라인 뉴스구독

뉴스레터를 신청하시면 귀하의 이메일로 주요뉴스를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