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19세기부터 중앙아메리카에 군사 개입과 과두제 지원, 그리고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을 강행하며 지금의 이주 위기를 야기했고, 이로 인해 폭력과 불평등이 고착화되었다. 과거의 미국 개입은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United Fruit Company)와 같은 기업 이익을 위한 제국주의 실험장이 되었으며, 이에 대한 반발로 산디니스타(FSLN), FMLN 등 반제국주의 혁명운동이 성장했다. 냉전기 미국의 반공주의는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등지에서 학살과 테러를 동반한 반혁명 전략으로 전개되었고,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불안정성과 이주 문제의 근원이 되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베네수엘라에 대해 초기의 실용주의적 접근을 접고 제재 재강화와 ‘2차 관세’ 위협 등 최대 압박 전략으로 회귀했다. 베네수엘라 석유 수출국에 대해 미국이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조치는 비합리적이며, 미국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 이 같은 조치들은 서방 기업들을 철수하게 만들고, 중국과 이란 등 우방국과의 협력 강화 및 원유 할인을 통한 수출 지속 등 새로운 경로를 만들고 있다.
트럼프는 4월 2일, 글로벌 무역 질서를 뒤흔들 초대형 관세 인상 계획을 발표하려 하며, 이는 실질적으로 연간 6조 달러 규모의 세금 폭탄이 될 전망이다. 경제학자들과 언론들은 이로 인해 소비자 물가 상승, 공급망 붕괴, 글로벌 복지 손실(최대 1.4조 달러), 경기 침체 등이 초래될 것이라 경고하고 있다. 트럼프는 미국 내 제조업 부활을 명분으로 내세우지만, 전문가들은 불확실한 정책과 인력 부족 속에 이득은 미미하고 손실이 훨씬 클 것이라 분석한다.
미국과 중국이 파나마 운하를 둘러싸고 영향력을 겨루는 가운데, 중국이 CK허치슨 항만 매각에 제동을 걸며 긴장이 고조되었다. 멕시코는 테우안테펙 지협을 가로지르는 ‘CIIT’ 철도 회랑을 시험 운영했으며, 이는 파나마 운하를 보완할 새로운 무역 경로로 주목받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멕시코 남부 지역의 개발을 도모함과 동시에 미·중 간 갈등 속에서 멕시코가 전략적 지정학적 위치를 활용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콜롬비아 노동조합 부대표 에드가르 모히카는 노동개혁 무산에 맞서 전국적 시위를 이끈 뒤, 정부가 대통령령으로 노동자의 권리를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노동계가 이미 다수의 입법 제안과 대통령령 초안을 제출했으며, 이에 대한 정부의 실행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동자들은 이미 충분히 뜻을 밝혔으며, 이제는 구체적인 권리 회복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브라질 연방대법원(STF)은 3월 26일, 자이르 볼소나루 전 대통령과 그의 측근 7명을 국가 전복 시도 혐의로 전원 일치로 기소해 피고인으로 만들었다. 이제 재판은 증거 조사와 증인·피고인 심문, 최종 변론 등을 거쳐 판결 단계로 진행되며, 2025년 내 유죄 여부가 결정될 가능성도 있다. 이번 결정은 민주주의 수호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되며, 브라질이 과거 군부 독재 시절의 선택적 면책을 극복할 기회로 여겨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베네수엘라산 석유 및 가스를 구매하는 국가에 대해 25%의 이차적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트럼프는 이 조치의 명분으로 이민자 중 범죄 조직 ‘아라과 열차’의 미국 침투를 주장했으며, 관세는 4월 2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베네수엘라 정부는 국제 무역 질서를 위협하는 불법적 조치라며 WTO 제소 등을 포함한 대응을 예고했다.
베네수엘라는 미국이 강제 송환한 자국민들이 범죄조직 트렌 데 아라과(Tren de Aragua) 소속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해, "이미 해체된 조직이며 아무런 연관도 없다"고 반박했다. 미 트럼프 행정부는 1798년 제정된 ‘외국인 적법(Alien Enemies Act)’을 근거로 이들을 엘살바도르 교도소로 급히 추방했으며, 현재 재판 없이 중노동을 받고 있다. 베네수엘라 정부는 이 조치를 ‘베네수엘라 국민에 대한 전쟁’이라고 규정하며 송환을 요구했고, 미 연방법원 판사도 "법 적용이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아르헨티나 국회가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의 $LIBRA 암호화폐 사기 연루 의혹을 조사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대통령 및 주요 각료들의 출석을 요구하는 결의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또한 밀레이가 대통령령으로 승인한 IMF 협정의 합헌성 여부가 다뤄지며, 대법관 임명 강행도 상원의 반발을 받을 전망이다. 이번 주 내내 밀레이 정부의 주요 정책들이 의회에서 정면 충돌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대법관 임명 문제가 헌법적 논란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 행정부가 쿠바의 해외 의료 지원 프로그램을 **'강제 노동'**으로 규정하고 제재를 가하려 하자, 카리브해 국가들이 이에 강력히 반발하며 미국과의 외교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쿠바는 수십 년간 세계 최빈국들을 대상으로 무상 의료 지원을 제공해 왔으며, 이에 의존하는 국가들이 많아 미국의 제재는 전 세계 의료 서비스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미국의 이 같은 조치는 쿠바 정부의 수익원을 차단하려는 의도로 보이지만, 오히려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서의 미국의 외교적 고립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