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사회는 이슬람국가(IS)와 어떻게 마주하고 있는가
이번 사건은 이슬람국가라는 극단적인 주의, 주장을 가진 세력과 마주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서 일본에게 어려운
일본 중의원 선거, 장기안정 극우정권의 탄생인가?
아베노믹스 평가 묻는 중의원 선거
-
여기 사람이 있다, 여기 성소수자가 있다
그리하여 인권은 늘 소란스럽다. 도발적이고 위협적인 요구를 통해 정치적으로 첨예한 요구를 그치지 않는 인권의 싸
세상은 사람들의 것이지 정부의 것이 아님에도
-
“비정규직 보호지침, 공공기관부터 지켜라!”
비정규직 사업장이 전국적으로 너무나도 많고, 비정규직 보호지침이 있지만 공공기관이 나서서 잘 지켜줘야 하는데 노
‘민주노조 괘씸죄’ 앞에 멈추는 정부의 공공부문 비..
“함께 살자!”는 구호를 현실로 만드는 노동자들
-
미국이 쓰다버린 브라질 경제
브라질 경제는 미국의 양적완화와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에 의해서 주택값 폭등, 물가상승, 금리인상 등의 조치를
금리는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미국 컨설팅업체가 짜준 박근혜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
-
신의 시대에 태어나 시대의 격랑을 넘은 ‘만신’
영화 <만신>은 황해도에서 태어난 만신 김금화의 일생을 한국근현대사와 함께 다룬, 극영화 요소가 담긴
그녀들과 함께 혁명의 격정에 휩싸여보자
내게 불쑥 들어온 그녀들
-
노동 중심의 생산패러다임 넘어서기
청년층의 노동에 대한 인식을 주요하게 본 이유는 최근 청년세대의 취업난과 구직경쟁을 보면 자본이 어떻게 노동을
좌파정치의 길을 찾는다
한국의 진보정당운동에 길을 묻는다
-
동지를 사랑하는 것이 혁명이었던 사람
“형, 힘들 때마다 전화할께요. 그래 자주 연락하며 살자”/ 너의 음성이 아직도 귓가에 생생한데 / 넌 마지막
저물녁, 그리움도 깊어지면 격려가 되네
어린 짐승의 착하고 슬픈 눈빛 같은 날이었다
1 2 3 4 5 6 7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