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찬란한 봄에도 꽃들이 죽어가고 있다

[양규헌 칼럼] 우울한 시대의 진정한 봄을 위해 따스한 위로를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라고 탄식한 식민지 시인의 마음에도 봄은 어김없이 찾아와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 끝없이 달리는 아지랑이 같은 혼에 어지러워하며 흥분했고 흙에 안겨 온몸을 적시고 싶어 했다. 그러나 지금은 남의 땅이라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겨 봄 신명조차 빼앗겨 긴 겨울왕국인 자신과 조국을 뼈저리게 맛보아야만 했다. 그로부터 세계사는 우리에게 식민지의 오명을 벗게 해주었고 우리는 우리 땅의 봄을 맞이할 수 있었다고 역사교육은 말한다.

그러나 이것은 잘 꾸며진 거짓말이다. 우리에게는 나리꽃 같은 하늘하늘한 생명들에게 봄은 아직 오지 않았다. 봄이라는 것, 자연이라는 것은 눈과 입과 귀가 살아있는 사람이라면 동물이라면 식물이라면 모두가 골고루 만끽하고 호흡하고 노래해야할 공공재이다. 이러한 자연은, 자연스럽게 순환하는 ‘봄이 모두의 것이 아니고 특별한 그 누구 거란 말인가’ 하고 항변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 봄은 모두의 봄이 절대 아니다. 식민지시대에 봄은 제국주의 것이었다. 지금은 돈을 소유해 권력까지 차지한 강자의 전유물일 뿐이다.

이 미친 봄을 증거하듯 지난 주와 그 전 주에는 많은 꽃들의 죽음들이 있었다. 아니 꽃이 피기도 전에 봉오리들이 우수수 떨어지는 참사가 매일 다반사로 일어나고 있다. 그야말로 사회의 총체적 겨울왕국이 빚어낸 비극적인 죽음들이었다. 교사의 체벌이 있은 뒤에 뇌사상태가 되어버린 고등학생 아이가 끝내 죽었고 성실하게 노동을 하며 하루하루 살아가던 세 모녀가 자살했고 늦자라던 아기를 안고 아파트에서 뛰어내린 젊은 엄마, 직업병으로 죽는 노동자, 해고당해 죽는 노동자와 가족, 진보정치에 몸담고 당찬 투사로 살아가던 소수파 비주류 정당의 젊은 부대표가 어이없이 죽음을 택했다. 불난 집에 새 교복을 가지러 갔다가 연기에 질식해 죽은 여고생의 죽음도 있었고 공장에 화재가 나 안타깝게 죽은 이주노동자의 죽음도 있었다. 그리고 여전히 죽임이 계속되는 지랄 같은 봄, 제발 봄이여! 땅에서 땅으로만 흘러 차라리 인간에게 겨울왕국을 내려 달라고 빌고 싶은 심정이다. 차라리 죽기 싫어 얼어붙고 싶은 저항의 봄이 아니면 모두가 파국으로 내몰리게 말이다.

멀쩡하게 건강하게 살았던 사람들이, 짐승들이, 땅들이, 작은 생명을 연장하지 못하고 죽어가도 언론에서는 생활고와 우울증과 AI전염병이라고만 말한다. 진지한 진단도 정의로운 해결책도 아닌 것들이 난무하는 국가와 정부라는 것이 자연과 사람에게 고귀한 것을 주는 존재인지 뼈저리게 생각하게 한다. 인민들이 낸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가인데도 나에게 자애로운 국가가 아닌 것은 내가 언제든 없어져도 좋은 벌거벗은 생명이기 때문이다.

즉, 제국주의 본질이 착취에 기인하고 자본주의가 지속되는 체제라면 그것은 벌거벗은 생명에게 언제나 제국주의인 것이다. 배제당하는 목숨들은 돈에 이용되다가 언제든지 제거되어도 상관없는 체제의 부속물로, 1% 자본가들은 99% 인류 중에 상당수가 죽어나가도 눈 하나 꿈쩍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인간을 살상하고 세계를 전멸시킬 수 있는 전쟁기계를 매일 생산하고 있지 않은가. 그리고 그 전쟁기계들은 못된 반항을 하는 세계에 퍼부어진다. 이런 것들을 생각하면 하루라도 숨쉬기가 곤란해진다. 새로운 세상을 꿈꾼 노동당 부대표의 우울은 상당히 복잡하고 깊었을 것이기에 그의 죽음에 당혹해하면서도 일면 공감이 가는 부분이 있기도 하다.

매년 기계적으로 반복되는 봄은 그렇게 되풀이되겠지만, 봄의 정취 속에 녹아나는 따스함과 새로운 창조의 봄은 그냥 오는 것이 아니다. 사막에서 치열한 투쟁이 없으면 아름다운 꽃을 피워낼 수 없듯이 수많은 인고로 누적된 흔적들을 치유하고 희망의 세상을 맞이할 수 있는 상황을 일궈나갈 때, 진정한 봄을 맞이할 수 있다.

언 땅을 뒤집고 기지개 켜는 아름답고 말간 새싹을 보아야 하는 이때에 전염병처럼 번져오는 죽음들을 우리는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산 것과 죽은 것들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누구나 한정된 인생을 사는 것이고 죽어간 생명들은 우리 가슴에 봄처럼 오고야 마는 새싹의 다짐들을 심어 놓는 것이다. 체제의 우울증이 깊어가는 시대인 만큼 서로서로 옆의 지인들이나 가녀린 생명들에게 상호 공감대를 형성하자. 이런 작은 마음들과 큰 전망들을 동시에 공유하는 따스한 봄을 그래도 기다리는 것은 봄이 주는 지저귐 때문인가 보다.
태그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양규헌(노동자역사 한내 대표)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
논설
사진
영상
카툰
판화
기획연재 전체목록